6개 층이 얇게 쌓인 OLED를 제작했다. 전류가 흐르는 활성층은 분사 방식으로, 전극, 절연체, 필름 등은 압출 방식으로 인쇄했다. 각 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만들어 전류의 흐름이 특정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였다.그 결과 연구팀은 가로, 세로 약 3.8 cm 크기에 64픽셀로 구성된 OLED ...
‘시루떡’에 비유했습니다. 유리 위에 백금층, 유전체(전기장 안에서 극성을 지니는 절연체)층, 그리고 다시 백금층이 시루떡처럼 쌓인 구조라는 겁니다. 백금층 두께는 각각 25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와 35nm고, 유전체층은 150nm 정도로 각 층은 아주 얇습니다.색이 변하는 마법 같은 일은 ...
따라서 양자컴퓨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극저온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절연체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브릭의 절연력을 실험으로 측정했다. 브릭 4개를 수직으로 쌓은 다음 절대온도 4.5mK(밀리켈빈·1mK은 1000분의 1켈빈·0K은 -273.15℃) 수준까지 냉각했다. 이후 가장 위쪽 브릭을 가열하면서 ...
상실했다.연구팀은 이를 외부 환경에 의해 금속의 전기전도성이 달라지는 ‘금속 절연체 전이(MIT·metal-insulator transition)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올리비에 델레어 듀크대 기계공학 및 재료과학과 교수는 “자기 스핀을 조절한 결과 금속이 부도체로 변했다”며 “이런 특성을 새로운 개념의 컴퓨터 ...
공간이라는 물질에도 액시온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추후에는 연구팀이 위상절연체로 활용한 바일 반금속 같은 물질을 액시온을 검출하는 ‘안테나’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액시온 발견, 앞으로 10년이 관건암흑물질과 더불어 물리학의 또 하나의 난제는 반물질이다. 정확히는 ...
하고, 신경세포가 신호를 잘 전달할 수 있도록 주위로부터 전기 활동을 차단하는 절연체 역할을 하기도 하지요. 또, 신경세포가 손상됐을 때 이를 회복시키거나 오염 물질을 없애는 청소부 역할도 한답니다. ...
시작했다. 임 책임연구원은 “한 가닥이 소스고, 한 가닥이 드레인”이라며 “여기에 절연체와 함께 코팅된 실 한 가닥(게이트)을 추가로 두른 뒤 보호막을 씌우면 섬유형 트랜지스터가 완성된다”고 설명했다.굉장히 간단해보이지만, 이전의 섬유형 트랜지스터와는 전혀 다른 구조다. 임 ...
사용됐습니다. 전기선을 플라스틱으로 감싸는 것처럼 플라스틱이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의 특성만 보였기 때문에, 전도성을 지닌 유기물의 개발은 그야말로 획기적이었습니다. 실수에서 시작된 우연한 발견은 지금까지 다양한 전도성 및 반도체성 유기물 개발로 이어졌고, 물리학과 화학의 ...
물질인 La-Cu-O에 Ba을 고작 6% 정도 도핑하자 저항이 0이 되는 초전도체가 된 것입니다. 절연체에 전자나 양공을 도핑하는 이 방법은 지금까지도 새로운 초전도체를 찾아내는 데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베드노르츠 박사와 뮐러 박사는 이 공로를 인정받아 연구결과를 보고한 이듬해인 1987년 연구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