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로 1980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그의 두 번째 노벨상 수상이었다. 그는 인슐린의 아미노산 배열 순서를 포함한 단백질의 구조를 밝혀내 1958년 첫 번째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1세대 DNA 해독 장비는 냉장고만큼 컸지만, 한 번에 읽을 수 있는 DNA 염기서열은 300~1000개에 불과했다. 그러다 ...
(Type 2 diabetes) : 췌장에서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는 1형 당뇨병과 달리, 2형 당뇨병은 인슐린이 분비되기는 하지만 혈당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필자소개김태. 경희대 의대에서 박사학위 및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취득하고, 미국 하버드대 의대 ...
병적 상태다. 남는 지방을 인슐린이 분비돼 흡수하지만, 들어오는 지방의 양이 많아 인슐린으로 감당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것으로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 또 지방세포에서 분비돼 식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인 렙틴의 신호체계에 이상이 생길 경우 비정상적인 허기를 일으켜 비만을 ...
필요가 없는 경우에 체내 ATP 저장 한계를 넘어설 만큼 음식물을 섭취하면 우리 몸은 인슐린을 분비해 글루코스-6-인산을 무려 6만 개의 포도당이 연결된 화합물인 글리코겐으로 변환시키고 이를 간에 저장한다. 그리고 간의 글리코겐 저장 한계마저 넘는 경우에는 지방으로 변환된다. 지방간과 같은 ...
정상 기능을 하지 못하면 기도가 좁아지고 병원균에 의한 감염이 증가한다. 또 인슐린을 생산하는 췌장세포에도 피해를 줘 당뇨 질환을 유발한다. 프라임 에디팅 기술로 낭포성 섬유증 환자의 기도나 췌장에서 결손 유전자를 복구할 수 있다. 또 염색체 11번에 있는 아데닌(A)과 티민(T)이 돌연변이를 ...
분비하지요. 분비된 인슐린은 혈액으로 들어가 당 함량을 낮춘답니다. 그런데 만약 인슐린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는다면, 혈액 속에 당이 많아지면서 ‘당뇨병’이 생기지요. 10대 소녀, 게임으로 불안감을 표현하다! 올해 6월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9 청소년 통계’에 ...
“미국 퍼듀대 연구팀과 보안 방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메드트로닉 외에도 최근 인슐린 펌프, 호흡 치료기 등 의료기기들이 해커의 공격에 노출된 사실이 여럿 드러났다. 시레야스 센 미국 퍼듀대 전기및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의료기기는 신호를 암호화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
마비될 마(麻), 매울 랄(辣). ‘혀가 마비될 정도로 맵고 얼얼한 맛’이라는 뜻의 마라. 대륙의 매운맛, 마라가 한국을 강타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혈중 마라 농도’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마라를 꾸준히 먹어 마라에 중독됐다는 뜻으로 ‘혈중 알코올 농도’에 빗댄 표현이다. 청 ...
풍부한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는 세포가 쓰는 에너지에 관련된 ‘cGMP’ 유전자군, 인슐린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유전자군, 내분비계를 관장하는 뇌하수체를 작동시키는 유전자군 등이 포함됐다. 마이클 위든 영국 엑스터대 의대 교수는 “아침형 인간의 유전자군 구성과 뇌세포의 활성이 정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