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잔느 교수는 먼저 고양이들이 내는 다양한 울음소리를 많이 녹음했습니다. 그 뒤, 이를 음성학적으로 분석해 야옹, 하악, 가르랑 등 음의 높낮이와 그 변화, 소리를 내는 시간의 길고 짧음 등에 따라 고양이의 울음소리를 분류했어요. 이후 ‘야옹’의 억양에 대한 연구에서는 고양이들이 음식을 ...
수학을 쉽게 이해시킬 수 있을지 항상 고민했답니다. 음성학 수업시간에도 첫 시간에만 음성학의 기본 내용을 가르치고 나머지 시간에는 이를 어떻게 응용할 수 있을지 수학과 코딩으로 설명했습니다. 남 교수에게 배운 학생은 다른 학생에게 지식을 나누면서 수업 내용을 확실하게 자신의 것으로 ...
한글은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든 것은 물론이고, 기본 글자에 획을 더해(ㄱ-ㅋ-ㄲ) 음성학적으로 동일한 계열의 글자를 만드는 원리다. 이런 이유 때문에 언어학자 제프리 샘슨은 한글을 기존의 표음문자★와 차원이 다른 문자라고 해서 ‘세계 최초의 자질문자’로 규정했다.표음문자★는 ...
구회산 교수는 지역 사투리를 쓰는 사람이 영어 모음을 발음할 때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음성학적으로 분석했다. 턱과 혀의 움직임에서 비롯되는 성도의 공명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연구 결과 영어 모음을 발음할 때 서울 토박이들은 혀 활동 폭이 좁아서, 영남 토박이들은 혀가 너무 앞으로 나가서, ...
음성인식 소프트웨어에서는 이들 발음을 따로 인식하지 않는다”고 밝혔다.그는 “음성학적으로 구별되지 않는 발음은 그 전후의 자음이나 음절을 고려해 전체 맥락에서 가장 적합한 발음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인식한다”고 덧붙였다. 발음이 거의 비슷한 ‘외국’과 ‘왜국’은 앞뒤 단어의 뜻과 ...
기역(ㄱ), 키읔(ㅋ), 쌍기역(ㄲ)의 경우 ㄱ과 같은 기본 글자에 획을 더해 ㅋ, ㄲ처럼 음성학적으로 동일계열의 글자를 만든 것은 대단히 체계적이고 과학적이라고 평가했다.1997년 유네스코가 훈민정음을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하고 매년 문맹퇴치에 큰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는 상을 ...
사투리로 의사소통한편 연구자들은 여러 지역에서 수많은 새소리를 수집해 그 유형, 즉 음성학적 변이를 파악해봤다. 그 결과 흥미있는 사실이 밝혀졌다.참새목에 속하는 휘파람새는 우리나라에 2가지의 아종, 즉 비슷한 종이 살고 있다. 그 중 한종인 휘파람새는 여름철새로, 주로 우리나라 중부 ...
확인도 전혀 불가능하지 만은 않을 것이다. 많은 독자들이 사람의 목소리를 연구하는 음성학에 관심을 갖고 세종대왕의 한글 창조에 버금가는 세계적인 연구성과를 밝힐 날이 오기를 기대해본다 ...
이 때문에 제대로 된 영어발음을 익히기 위해서는 혀의 조음 동작부터 알아야 한다.음성학적으로 세상의 어떤 언어든 혀를 움직여 발음하지 못할 소리가 없다. 우리나라 사람에게 가장 까다로운 영어발음 소리는 [r]과 [l]이다. 영어의 [l]소리는 혀끝을 윗잇몸에 대고 혀의 양옆을 터서 그 사이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