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고래의 초음파와 먼바다에서 조업을 끝내고 돌아가는 원양어선의 엔진소리도 에너지원이 될 수 있을까. 파델 아디브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팀이 9월 26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한 무선 수중 카메라는 바다나 강 등 수중 환경 속 음파로 전력 문제를 해결한다. doi: 10.1038/s41467-022 ...
바다를 관리하는 국제지역수산기구가 제시한 어획 기준을 지켜야 해요. 국제옵서버는 원양어선에 직접 탑승하여 어선이 실제로 조업 기준을 잘 지키는지 감시하는 일을 합니다. 이와 더불어 과학적 조사를 병행하기도 해요. 현재 우리나라에는 54명의 국제옵서버가 활동 중이랍니다. Q직접 ...
조업감시센터 센터장) 해양수산부에 속한 조업감시센터는 2013년 설립돼 국내 원양어선의 불법조업을 감시하고 있어요. 위치와 속력 등의 정보가 담긴 선박모니터링시스템(VMS)과 어떤 물고기를 얼마나 잡았는지를 위성으로 보고하는 전자보고시스템(ER)을 이용하지요. 또 우연히 잡힌 포획금지종을 ...
라바울 현장에 도착한 뒤 가장 먼저 아라온호에 승선해 있던 의사 한상호 선생님이 원양어선원들의 건강을 살폈어요. 이후 선원들을 아라온호의 2층에 따로 머물게 한 채 한국으로 가는 바닷길에 올랐지요. 이때 배 2층 전체를 완전히 격리하고, 공기 흐름 밸브를 조절해 2층의 공기가 다른 층으로 ...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어요. 구삼옥 박사님은 “좀 더 작은 크기로 만들어 원양어선 등에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며, “군용 드론처럼 일반 드론도 바다 위에 떠서 이동하는 배와 같이 움직이는 대상에 정확히 착륙할 수 있게 연구하고 있다”고 말씀하셨어요.탐방을 마친 한주희 친구는 ...
이용해 매년 1억t이 넘는 물고기를 잡고 있다. 예컨대, 태평양의 먼 바다에서 참치를 잡는 원양어선들은 ‘집어장치’를 쓴다. 바다에 던져 놓는 속이 빈 부유물로, 작은 물고기들은 이 부유물을 포식자로부터 숨을 수 있는 피난처로 생각하고 모여든다. 뒤이어 이를 먹고 사는 참치 같은 큰 물고기가 ...
%를 만들어 내지.3 나도 어부다! 원양어업체험장원양어업체험장에 가면 먼 바다로 나가는 원양어선을 탈 수 있어. 배가 실제로 움직이진 않지만 참치를 잡는 과정을 항해시뮬레이션으로체험할 수 있단다. 참치 같은 먼 바다 물고기를 어떻게 잡고 보관해 식탁에 오르는지 엿볼 수 있지.4 친환경 ...
영화 ‘죠스’를 보고나면 상어는 늘 공포의 대상이다. 그러나 상어라고 모두 사나운 것은 아니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현재 알려진 400여 종의 상어 가운데 사람을 공격하는 상어는 27종에 불과하다. 상어는 뼈가 부드러운 연골어류에 포함되며, 몸이 방패비늘(순린)로 덮여있고 강 ...
축 지방정부 수산국과 협력해 해양보호구역 프로젝트를 하고 있다. 과거 중국의 원양어선들이 이곳에서 해삼을 싹쓸이해 갔다. 축 수산국은 해양보호구역을 설정하려고 했지만, 경험이 없고 현지 주민들의 이해부족으로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지 못했다. 연구센터는 수산국이 해양보호구역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