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각이라는 감각 기관. 냄새, 맛, 물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몸 뒤에 나 있는 ‘꼬리’는 아가미와 항문돌기다. 몸길이 1~4cm 내외로아주 작으니, 만약 만난다면 쓰다듬다 뭉개지 않도록 조심하길 ...
때 모습을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으로 유명해요. 그래서 수명을 다할 때까지 물속에서 아가미 호흡만 하기도 한답니다! 케라틴(keratin)케라틴은 동물의 여러 조직에 있는 단단한 단백질입니다. 머리카락, 손톱과 발톱의 주재료이기도 하죠. 세포와 세포 내부 기관의 위치를 유지하는 골격에도 ...
우리가 흔히 우럭이라고 부르지요. 조피볼락은 등에 가시가 있고, 배지느러미와 아가미, 그리고 턱에도 가시가 있어서 찔리면 아프니까 조심해야 해요.”김 연구원과 신 연구원은 바닷속에서 채집한 다양한 어류들을 수조에 담아 대원들에게 보여줬어요. 그중에는 조피볼락을 비롯해 놀래미로 ...
’라는 뜻의 양서류는 말 그대로 물과 뭍에서 살 수 있는 척추동물입니다. 어릴 적에는 아가미로 수중호흡을 하며 물에서 살다가, 자라면 폐와 피부로 호흡을 하며 육지와 물을 오가며 살지요. 그렇다고 양서류가 육지 어디에서나 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피부 호흡을 하려면 피부가 항상 축축해야 ...
물 밖의 공기를 입으로 삼켜 장으로 호흡하는 ‘장호흡’도 할 수 있거든요. 그래서 아가미 호흡으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 미꾸리나 미꾸라지가 수면으로 올라와 입을 뻐끔거리며 공기를 빨아들이는 장면을 볼 수 있답니다. 미꾸리미꾸리는 얼핏 보면 미꾸라지라고 생각하기 ...
여러분은 화가 나면 어떻게 화를 푸나요? 문어는 물건을 던집니다. 호주 시드니대학교의 피터 고프리-스미스 교수팀이 관찰한 결과입니다.호주 시드니 ... 이 행동이 문어의 높은 지능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예라고 설명했지요. ● 수관 : 문어가 아가미를 거친 물이나 먹물을 내뿜는 기관 ...
그중 하나는 미꾸라지나 메기가 사용하는 ‘장호흡’이에요. 이 물고기들은 평소 아가미로 호흡을 하다 때때로 수면 위로 올라와 공기를 삼켜 장에서 호흡해요. 미꾸라지의 뒤창자에는 혈관이 빽빽하게 모여 있어 삼킨 공기 방울 속의 산소를 혈관을 통해 흡수할 수 있거든요.그런데 올해 6월, 일본 ...
상어를 모방해 터널 폭발음을 줄이는 터널 구조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 상어의 입과 아가미처럼 압력을 분산시키는 구멍을 여러 개 뚫은 특별한 구조물로, 터널 입구 바깥에 설치됐어. 그 후 고속열차를 통과시켜 보았더니, 터널 내부로 전달되는 압력이 줄어들어 폭발음도 줄었지. 폭발음이 ...
대부분의 어류나 조류는 방광을 갖고 있지 않아 오줌을 싸지 않는답니다. 대신 어류는 아가미로 핏속에 있는 노폐물을 바로 몸 밖으로 배출하고, 조류는 암모니아를 독성이 적은 요산으로 바꾼 뒤, 대변에 섞어 몸 밖으로 내보내죠. ● 네트워크(network) 세상의 온갖 사물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