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수동 : 에서 가장 좋아하는 것은 뭐예요? ‘인공지능 로봇 마이보2’를 가장 좋아해요! 인공지능 로봇은 물어본 것에만 딱딱하게 답할 것 같은데, 마이보는 아주 친한 친구 같아요. 국립중앙박물관에 가면 길을 안내하고 설명해주는 ‘큐아이 로봇’이 있는데, 갈 때마다 말을 걸어보 ...
우리 인간의 몸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수많은 세포로 구성돼 있습니다. 30~60조 개 가량의 세포는 엄청난 숫자만큼이나 다양한 모양, 기능을 갖고 있죠. 여기서 궁금증, 여러분도 잘 알다시피 우리는 정자와 난자가 합쳐진 하나의 수정란으로부터 만들어졌습니다. 하나의 세포가 둘로, 넷으로 그리 ...
암과 맞서 싸울 인류의 새로운 무기가 건설됐다. 서울 신촌에 위치한 연세의료원 중입자 치료센터다. 암은 한국인 사망 원인 1위의 질병이다. 2022년 9월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한국인 사망자 4명 중 1명이 암으로 사망했다. 종양 제거 수술을 비롯해 방사선 치료, 항암 ...
지난 줄거리현세의 자본력에 따라 내세의 등급이 인간, 동물, 식물로 정해지는 세계에 사는 설진은 식물 등급을 받은 아버지의 내세 좌표를 받기 위해 구청에 들른다. 이후 중요한 미팅을 위해 채식 요리 전문 식당에서 투자 전문가 재관과 만난다. 대대로 동물 등급 이상을 받는 재관과 자신 사이 ...
순에너지 획득으로 인류는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에 한 발짝 다가섰다. 앞으로 상용화까지 몇 발짝을 더 나가야 하고, 그 걸음에 우리가 넘어야 하는 산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전 세계 공통의 목표인 ‘탄소중립 2050’에 맞춰 핵융합 에너지가 대전환을 이끌 수 있는지, 상용화까지 남은 시간도 가 ...
2022 SF 스토리 공모전 심사를 맡은 심완선 SF 평론가는 을 두고 ‘사람이 죽으면 무엇으로 태어날지 국가가 정한다는 내세 시스템이 매력적’이었다고 전했는데요. 강동인 작가와 만나 소설에 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Q ─ ‘내세 차등 배분제’라는 설정이 정말 신선해요. ...
대한민국 최고 수학자와 미국 미시간대학교 수학과 박사과정생이 매달 1일 폴리매스 홈페이지 [폴리매스]-[대한수학회]와 [슬기로운 수학생활]에 문제를 출제합니다. 폴리매스 문제를 풀 아이디어나 풀이를 댓글로 남겨 보세요. 여러 회원이 함께 고민해 풀다 보면 해결하지 못할 문제는 없을 거예 ...
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에서 대칭과 관련이 깊은 수학 연구 분야인 ‘군론’을 연구하고 있는 이승재 박사후연구원입니다. 오늘은 저를 수학자로 이끌어주신 제 은사님, 마커스 드 사토이 교수님을 소개하려고 합니다.드 사토이 교수님을 직접 인터뷰했으니재밌게 읽어주세요! 수학자의 길로 안 ...
돌고래 씨 안녕허우꽈?홍아름 지음│유승민, 이하연 그림핑랩북스│120쪽│1만 3000원 제주 남서쪽 모슬포 근처 해안가는 돌고래 명소로 유명하다. 자동차 내비게이션에 ‘CU서귀영락해안도로점’을 찍은 뒤 해안도로를 따라 이동하다 보면 돌고래가 뛰어오르는 장면을 심심찮게 목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