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행히 아직 희망이 있대. 과학자, 개인뿐 아니라 국제사회가 협력하기 시작했거든! 여섯 번째 대멸종, 힘을 모아 막아보자! 급진적인 과학으로 지구를 되돌리자!지난해 2월 미국의 비영리 연구단체 ‘북극 얼음 프로젝트’는 유리 가루를 북극의 해빙 위에 뿌리면 태양 광선을 반사해 해빙이 녹는 ...
이먼 라히미페트루디 연구원은 이란 출신으로 2017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에서 인턴십 기회를 얻어 한국에 왔다. KIER는 UST의 캠퍼스와 스쿨이 있는 32개의 국가연구소 중 하나다. 이후 2018년 9월부터는 KIER 캠퍼스에서 신에너지 및 시스템공학전공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라히미페트루디 연구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범유행이 길어지면서 전 세계 사람들이 집 안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는 일명 ‘집콕’ 문화가 퍼져가고 있다. 이에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 주요 연구기관도 현장 연구를 멈추고 재택근무를 시작하면서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같은 초대형 연구계획에 제동이 걸 ...
우리 대부분은 ‘KAIST인’이 아니다. 그래도 KAIST가 우리에게 특별한 이유는 지난 50년간 KAIST가 연구와 교육이라는 목표에만 매진하지 않은 덕분에 사회 곳곳에서 KAIST인들을 만날 수 있어서다. 창업을 통해 굴지의 기업이 나왔고 지금도 많은 기업이 창업되고 있다. 또한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 문 ...
우리는 일상에서 기쁨과 슬픔, 즐거움 등의 감정을 담아 다양한 표정을 짓습니다. 이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전세계 사람들의 표정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지, 사회 문화적인 학습을 통해 표정이 달라질 수 있는지 의견이 분분합니다. 그런데 최근 지리, 문화적 경계를 넘어 감정을 드러내는 표정은 ...
지난해 화성 탐사 레이스에 가장 먼저 뛰어든 국가는 아랍에미리트(UAE)였다. UAE는 아랍권 국가에서는 최초로 우주개발 레이스에 뛰어들었다. 지난해 7월 20일 UAE가 발사한 궤도선 아말(Al Amal)은 2월 9일 경 화성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다. 같은 달 23일 중국이 보낸 톈원 1호도 2월 중순 화성 궤도에 진입 ...
수학을 잘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귀에 딱지가 앉도록 듣지만, 수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아무도 알려주지 않습니다. 수학자가 될 것도 아닌데 수학을 왜 공부해야 하는지 모르겠고, 문제를 잘 풀어야만 수학을 잘하는 건지 의문이 든다면, 잘 왔습니다. 끝나지 않는 물음표에 마침표를 찍기 위한 ...
왜 어느 국가는 방역이 잘 이뤄지고 어느 국가는 그렇지 못할까요? 아무리 좋은 방역 정책이 있다고 해도 사회 구성원이 이를 따르지 않으면 의미가 없죠. 사회에서 ‘협력’은 당연한 선택지가 아니거든요. 개인이 협력할 유인책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염병 확산 상황에서 개인의 선택을 협 ...
평소 사용하는 검색과 영화, 동영상, 쇼핑 서비스에 AI가 숨어 있고, 알고리듬으로 작동한다니 놀랍지? 그 알고리듬의 핵심은 수학이야. 그 중에서도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벡터’라는 수학 개념이지. 무슨 얘기냐고? 지금부터 알려줄게! 데이터를 AI에 학습시키려면 벡터로 나타내야 해요! 여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