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을 고르려고 꽃향기를 자주 맡다 보니, 맡을 때마다 냄새가 다르게 느껴졌어. 코 말고 향을 확인할 방법은 없을까? 꽃향기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연구가 발표됐다고 해서 찾아가 봤어! 지난 4월, 카이스트(KAIST) 기계공학과 김형수 교수와 생명과학과 김상규 교수는 꽃향기가 퍼지는 모습을 실시간 ...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움직임이 살아있는 것처럼 자연스럽다고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지난 5월 17일 넷플릭스 드라마 , 게임 ‘배틀그라운드’, 아이돌 그룹 ‘에스파’의 캐릭터 움직임을 모션 캡처로 만든 기업 이엠피이모션캡쳐를 방문해 캐릭터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알아봤 ...
●인터뷰이기원(서울대학교 푸드테크학과 교수), 이진규(이화여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교수, 슈팹(주) 대표)“푸드테크는 우리가 식품을 소비하는 모든 과정에 있습니다” Q푸드테크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요?이기원 음식이 식탁에 오르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생각해 보세요. 음식의 ...
100점 만점에 100점! 인공지능 셰프가 완벽한 레시피와 로봇 팔로 안전하게 조리한 요리가 완성되었습니다. 맛도 좋지만, 음식을 먹는 사람의 건강 정보와 취향을 파악해 필요한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간 요리지요. 식품 산업이 로봇과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과 만난 ‘푸드테크’ 덕분입니다. ...
상하지 않고 장기 보관이 가능한 새로운 우주식량이 필요했거든요.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이진규 교수는 “단백질이나 녹말 등 음식 재료를 가루로 만들면 오래 보관하거나 옮길 때 매우 편리하며, 이를 프린트해 음식으로 만들면 처리해야 할 음식물 쓰레기가 생기지 않는다”고 ...
관한 연구’에 따르면 IT분야의 기술순환주기(TCT)는 8.8년, 자동차 분야는 11.6년, BT(생명공학기술) 분야는 12.4년 그리고 소재 기술은 21.8년으로 산업별로 달랐다. 특허 출원 연도를 분석해 기술의 경제적 수명을 예측하는 것을 기술순환주기라고 한다. 급변하는 기술 변화에 도전정신을 느끼면 좋지만, ...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는 시인이 되고 싶었다.수학이 바로 그런 표현의 방법이란 걸 배웠다.”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이 자라 2022년 필즈메달을 수상했다.한국계 수학자 허준이(39)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 교수 겸한국고등과학원(KIAS) 수학부 석학교수의 이야기다. 2022년 7월 5일(현지시간) ...
안녕! 나는 비눗방울을 좋아하는 ‘무지개굴’이야. 이름처럼 무지개빛 비눗방울을 만들며 노는 걸 즐기지. 그런데 말야, 과학자들도 나처럼 비눗방울 놀이를 즐긴다는 거 알아? 비눗방울 탄생부터 죽음까지 모든 과정에 ‘진심’인 과학자들의 이야기, 지금부터 들려줄게! ▼이어지는 기사를 ...
고통받는 사람을 위해 연구하는 꿈을 가지고 진학했다”며 “고등학교 재학 시절엔 의생명공학과라면 생명과학을 잘하면 된다고 생각했었지만, 막상 입학해보니 생명과학을 잘하는 게 전부는 아니었다”고 했다. 이어 “공학을 의료 분야에 적용하는 학문이라 역학, 공학수학, 프로그래밍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