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4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신경물리학연구실을 찾았어요. 생각만으로 움직일 수 있는 로봇팔을 개발한 정재승 교수팀의 장상진 연구원을 만났지요. 이 로봇팔은 어떻게 생각대로 움직이는 걸까요? 생각만 해도 팔이 움직인다“사람들의 생각을 해석해 움직이는 로봇팔이 ...
◇보통난이도 2020년 여름, 좀비들이 판치는 세상에서 탈출하려는 이들의 이야기를 그린 두 영화 ‘#살아있다’와 ‘반도’가 찾아왔다. ‘#살아있다’는 서울 도심의 아파트 밀집 지역에서 특별한 원인 없이 출몰한 좀비 바이러스가 삽시간에 퍼지면서 벌어지는 생활 밀착형 생존기를 그렸다. 바 ...
뇌파의 능력은 어디까지일까요?영화 감독을 꿈꾸는 친구들이 반가워할 만한 소식이 있어요. 그건 바로, 뇌파만 있으면 영화 감독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에요. 어떻게 그럴 수 있냐고요? 저를 따라와 보세요! 뇌파로 제어하는 영화 등장!고대 이집트에선 죽으면 시신을 미라로 만들었어요. 이때 뇌 ...
사지마비 환자가 생각만으로 외골격 장치를 움직여 걷는 데 성공했어요. 10월 3일, 프랑스 그르노블대학교의 의학자 알림 루이 베나비드 교수팀이 환자의 뇌에 전극판을 심어 외골격 장치를 움직일 수 있게 했다고 발표했지요. 다만, 천장과 연결된 지지대로 환자가 넘어지지 않도록 도왔기 때문에 ...
신경세포를 살려냈다는 점에서 과학계의 큰 관심을 끌었습니다. 이 연구를 발전시키면 사지마비 환자의 신경세포를 되살릴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 연구는 죽음에 대한 생물학적인 정의도 곱씹어 보게 했습니다. 그간 생물의 삶과 죽음의 경계는 뇌 기능 상실과 신체 장기 순환능력 상실로 ...
걷고 물건을 집을 수 있는 외골격로봇(엑소스켈레톤)을 개발하고, 팔과 다리를 못 쓰는 사지마비 환자에게 이 로봇을 입혀 움직이게 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내용은 국제학술지 ‘랜싯 신경학’ 12월호에 실렸습니다. doi: 10.1016/S1474-4422(19)30321-7척수나 뇌와 같은 중추신경계가 아닌 팔다리에 위치한 ...
발작을 멈추거나 사지마비 환자를 움직이게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신경이 망가진 사지마비 환자의 로봇 의수를 정교하게 만들기 위해 뇌 원리를 밝혀 제어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김소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뇌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아직은 모르는 게 많다”며 ...
“일반적으로 신경세포가 망가지면 재생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일부 사지마비 환자에서도 간혹 의학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재생력을 가진 경우가 발견된다”며 “이번 연구는 이 같은 일을 과학적으로 규명해 재현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뇌세포는 ...
이를 적용하는 게이오대의 임상 연구도 최종 승인했다. 게이오대는 올 여름 최초로 사지마비 환자에게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를 시도할 계획이다. 크리스퍼 기술 접목해 암 발생 거의 없어 유도만능줄기세포 기술의 핵심은 ‘Oct4’ ‘Sox2’ ‘Klf4’ ‘c-Myc’ 등 네 가지 단백질이다.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