떨어졌어요. 상황반은 영상에서 비를 만드는 응결핵 ‘염화칼슘●’ 대신 눈을 만드는 빙정핵 ‘아이오딘화은’으로 분주히 교체하고 있었죠.“자, 드론 비행 시작합니다!”오후 12시 41분, 드론은 아이오딘화은 16g이 든 폭죽 모양의 연소탄을 2개 매달고 수백m 상공을 날아올랐어요. ‘탁’ 터지는 ...
빙정(얼음 조각)이 섞여 있어요. 과냉각 물방울의 수증기가 빙정에 달라붙으면 무거워진 빙정이 떨어지면서 눈이나 비가 된답니다. 온실기체(greenhouse gas) 태양에서 온 빛에너지가 지구에 도달하면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지구에 흡수돼요. 지구에 흡수된 태양 에너지는 파장이 긴 적외선 형태로 ...
대구 같은 어류나 미생물 등은 ‘결빙방지 단백질’을 만들어요. 결빙방지 단백질은 빙정을 둘러싸며 얼음 핵에 다른 물 분자가 결합하는 것을 막아요. 결빙방지 단백질은 의약품이나 줄기세포를 저온으로 보존할 때 도움이 된답니다. 2000년대 초반 국내에는 물이나 음료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하는 ...
과냉각물방울의 물 분자가 빙정쪽으로 이동하는 거지요. 크기가 점점 커져 무거워진 빙정은 결국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져요. 이때 온도가 따뜻해 지상에 도착하기 전에 얼음 조각이 녹으면 비, 추워서 녹지 않으면 눈이 된답니다. 땅으로 떨어진 비나 눈은 강이나 지하수에 모여 바다로 ...
엄청난 부자가 될 것’이라는 교수의 말을 듣고 연구를 시작합니다. 1886년, 그는 ‘빙정석’을 이용해 알루미늄을 녹인 후 전압을 걸어 순수한 알루미늄을 추출하는 ‘전기분해법’을 개발해요.그런데 이 방법을 발견한 사람은 찰스 마틴 홀 뿐만이 아니었어요. 거의 비슷한 시기, 프랑스의 화학자 ...
해서 주변 지역에 가뭄이나 홍수 같은 이상기후를 유발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한편 빙정핵으로 사용되는 요오드화은이 호흡기 및 피부 질환, 신장 및 폐 병변과 은 중독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여기에 대해 미국기상조절협회(WMA)는 2009년 성명서를 내고 인공강우 실험에 쓰이는 ...
자라나는 -16~-12℃ 온도 구간을 살펴보자. 이 구간은 얼음의 핵으로 작용하는 먼지 입자(빙정핵)가 활발하게 작용하는 온도다. 또한 얼음에 대한 물의 포화수증기압★의 차이가 가장 크기 때문에, 같은 조건이라면 물보다 얼음으로 더 잘 성장한다. 그래서 아름다운 눈결정으로 자라날 수 있는 얼음 ...
더 차가워요. 하지만 얼지 않고 과냉각된 물방울이 떠 있답니다. 이때 작은 먼지들이 ‘빙정핵’이라는 얼음결정을 만드는 씨앗이 되어 얼음결정을 만들어요. 얼음결정은 점점 커져서 약 2㎜의 눈결정이 되지요. 눈결정은 육각형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별모양이나 바늘모양, 나뭇가지 모양, ...
것은 비다. 최근처럼 온도가 계속 영하권으로 떨어지지 않는 이상 공중에서 낙하하는 빙정이 중간에 녹아 비로 변하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0년~2012년 동안의 1, 2, 12월의 강수량은 연평균 64.3mm로 이 기간의 연평균 적설량 23.1cm(강수량 환산 시 23.1mm)를 제외하면 41.2mm가 비로 내렸다.날씨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