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로 60년이 넘게 지났지만, 과학자들은 지금도 밴앨런대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밴앨런대의 강한 방사선이 지구 궤도를 도는 인공위성을 고장 낼 수 있기 때문이지요. ...
자석으로 나침반을 만들어 동서남북의 방위를 알 수 있다는 사실은 옛날부터 알려져 있었죠. 현대에도 자석은 전자제품과 장식물 속에서 우리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미래에도 자석의 활약은 계속됩니다. 초전도 자석을 사용하면 자기부상 열차를 만들 수 있어요. 자석 ...
‘Designed by Junga Hwang’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태양우주환경그룹 책임연구원은 2003년 발사한 과학기술위성 1호에 자신의 이름을 새겼다. 탑재체 설계와 제작, 발사부터 데이터 수신까지 황 연구원이 주도적으로 관여했기 때문이다. “제 이름이 새겨진 위성이 지금도 머리 위를 90 ...
즉사한다고 주장한다. 언뜻 들으면 그럴 듯해 보이지만 틀린 주장이다. 아폴로 11호가 밴앨런대를 통과하는 데 걸린 시간은 1시간도 채 되지 않았고 방사선이 가장 약한 경로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아폴로 11호 우주비행사들이 왕복 여행 중에 노출된 방사선의 양은 평균 1.8mSv(밀리시버트) 정도인데 ...
‘과학기술위성 1호’의 우주환경 탑재체 개발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지구 방사능 벨트(밴앨런대·Van Allen belt)의 생성 원리를 연구해 2006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7년부터는 한국천문연구원에 재직하며 북극항로의 우주 방사선 예측 모델 개발, 공군의 우주 기상 인프라 구축 지원 임무, ...
입자들을 지구 자기장이 붙잡아 지구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해 주거든요. 이 공간을 ‘밴앨런대’라고 해요. 이 덕분에 지구의 대기와 오존층이 있고,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거랍니다. 그렇다면 지구의 자기장은 어떻게 생기는 걸까요? 아직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과학자들은 액체 ...
최근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대학생들이 직접 만든 큐브샛으로 지난 60년 동안 남아있던 우주의 수수께끼를 풀었어요. ●밴 앨런대에서 그동안 실체가 확인되지 않던 고 에너지 전자를 직접 검출하고, 이것이 초신성 폭발로부터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아 냈지요.이번 연구를 통해 지구 주변의 우주 ...
나온 입자가 있다. 태양폭풍이 생기면 이곳에 고에너지 입자가 생긴다. 따라서 밴앨런대의 환경과 변화를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다면 인공위성이나 우주선, 우주인의 안전에 도움이 된다. 천문연은 RBSP의 자료를 받기 위해 지름 7m의 안테나를 새로 설치했으며, 이 자료를 분석해 태양활동 극대기에 ...
슬슬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던 어느 날, 국가비밀과학수사대 요원인 고OO(코드명 카리닷사)에게 긴급 지령이 떨어졌다. 최근 중국이 공개한 우주 유영 동영상이 가짜라는 정보가 입수됐으니 조사하여 자세한 보고서를 제출하라는 것이다.“앗, 국장님! 하지만 전 오늘부터 휴가….”“이 메시지는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