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파렐리 교수님은 마치 탐정 같았어요"- 이기암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 - 1994년부터 뉴욕대에서 박사과정생으로 있을 때 지도 교수님인 카파렐리 교수님으로부터 세 가지를 배웠어요. 먼저 수학 문제를 그림과 간략한 계산으로 접근하는 방법이에요. 보통 PDE 문제는 수식을 푸는 걸로 공략 ...
수학상 하면 필즈상이 가장 먼저 떠오르실 텐데요. 수학자에게 어떤 상을 가장 받고 싶냐 물으면 열에 아홉은 수학계 노벨상 ‘아벨상’을 꼽습니다. 필즈상이 앞으로가 기대되는 만 40세 이하 젊은 수학자에게 주는 상이라면, 아벨상은 평생의 공로를 인정받은 수학자에게 주는 상이기 때문이지 ...
“PDE는 카파렐리 교수의 연구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1970년대부터 카파렐리 교수와 자주 연구한 산드로 살사 이탈리아 밀라노 폴리테크니크대학교 명예교수가 한 말입니다. 카파렐리 교수의 연구 결과들이 PDE 연구에 끼친 영향이 대단하다고 평가한 건데요. 놀랍게도 카파렐리 교수는 PDE를 박사 ...
023년 아벨상 수상자는 편미분방정식(PDE) 연구 분야의 살아있는 전설 루이스 카파렐리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 수학과 교수입니다. 헬게 홀든 아벨상위원회 위원장은 “카파렐리 교수는 PDE 문제에 새로운 기하학적 방법론을 제시해 이 분야를 발전시켰다”고 3월 22일 아벨상 홈페이지를 통해 수상 ...
PDE를 포함한 어떤 수식을 그래프로 나타냈을 때 뾰족하게 생긴 지점으로, 이 지점에서는 미분이 불가능해요. 1977년 카파렐리 교수는 슈테판 문제 해결의 중요한 실마리를 마련합니다. 얼음과 물의 경계의 변화를 돋보기처럼 확대해서 볼 수 있는 수학적인 방법을 고안합니다. 그 결과 얼음이 물이 ...
만들어지는 미적분이다. 3차원으로 설계한 형상을 가상의 얇은 종이처럼 자른 뒤 (미분) 프린터 안에서 이것을 한장 한장 쌓아 올려(적분) 입체적인 물건을 만든다. 적층제조로 물품을 만들 때는 3차원 형상을 만들어 내는 프로그램과 이를 찍어 내는 프린터 제조사의 역할이 크다. 그리고 이 과정에 ...
문제에서 어떤 풀이법을 쓰는 게 효율적인지 알게 돼요. 김동우 한 예로 합성함수의 미분을 표기할 때 ‘뉴턴 방식’과 ‘라이프니츠 방식’이 있어요. 저는 뉴턴 방식을, 태영이는 라이프니츠 방식을 선호해요. 어떤 방식을 사용해도 똑같은 답이 나오지만, 문제 유형에 따라서 더 깔끔한 풀이가 ...
거대하게 만든 건 모두 컴퓨터 그래픽 기술이지요. 시간에 관한 변화를 알 수 있는 ‘미분방정식’을 이용해 유체의 입자가 최대한 자연스럽게 움직이게 했어요. 또 온도에 따라 빛을 내는 현상인 ‘흑체복사’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으로 용암의 모양과 움직임을 세밀하게 조정했지요. Q ─ 레드 ...
MIT)와 자매대학이라 MIT에서 미분방정식 수업을 들을 기회가 생겼습니다. 어느 날 미분방정식 강의 교수님이 ‘이렇게 수학을 잘하니 우리 학과로 편입하면 어때?’라며,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말했습니다. 그때 처음 ‘왜 수학 전공할 생각을 못 했지?’라는 생각이 스쳤지요. 세계 최고의 대학교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