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체에 얽힌 미스터리채널명 : 과학드림 (구독자 수 : 93만 명)1977년 고생물학자 콘웨이 모리스는 1909년 발견된 고생대 화석을 연구해 ‘할루키게니아(hallucigenia)’라고 이름 붙였어요. 기이하게 생겨 마치 환각(hallucination)을 보는 것 같다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5억 년 전 바다 밑에서 살았을 것으로 ...
기업과 학교는 인터넷 보안의 중요성을 깨닫고 보안을 강화하게 되었습니다.로버트 모리스는 어떻게 되었냐고요? 그는 사회에 큰 손해를 끼친 혐의로 재판에서 1만 달러의 벌금형 등을 선고받았습니다. 이후 컴퓨터 관련 업무를 계속해 현재는 MIT의 교수로 재직 중이랍니다 ...
있을 거라고 추정해 왔지만, 실제로 소리 터널을 찾아낸 건 이번이 처음이었습니다.모리스 유잉 연구원은 1944년 바다에서 음속최소층을 찾아낸 뒤, 이와 비슷한 층이 하늘에도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대기권의 가장 낮은 층인 대류권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지표면에서 방출하는 열이 닿지 않아 ...
있는 터널을 ‘음속최소층(SOFAR channel)’이라고 합니다. 1944년 4월 미국 우즈홀해양연구소 모리스 유잉 연구원팀이 처음 이 층을 발견했지요. 연구팀은 소리의 이동 거리에 관한 연구를 하려고 물속에서 소리를 탐지하는 수중 청음기를 배에 매달아 연구소 근처 바닷속 700m에서 1300m 사이에 넣었어요. ...
시험 종료까지 5분! 컴퓨터용 사인펜을 들고 OMR 카드에 빠르게 마킹하려는데으악! 사인펜이 뻑뻑해요. 뚜껑을 제대로 닫지 않아 잉크가 마 ... 같은 원리를 적용한 JUST CLICK 문구 시리즈가 있습니다. 형광펜, 유성 매직, 네임펜 등 모리스의 문구 제품들로 뚜껑의 굴레에서 벗어나 보세요 ...
한바퀴 둘러보자. 그리고 찾은 불편함을 해결할 작은 아이디어 하나를 더해보자. 아마 모리스의 펜 ‘저스트 클릭’도 이렇게 탄생하지 않았을까.“저 불편한 뚜껑 대신 ‘그냥 누르면’ 되는 거 아닐까 ...
가위나 칼로 잘라 만들 수 있는 조각이에요. 하지만 1963년 미국의 수학자 레스터 더빈스, 모리스 허쉬, 윌리엄 카루시는 ‘가위로 자를 수 있는 조각’으로는 이 문제를 풀 수 없다는 것을 보였어요. 1990년에는 헝가리 수학자 러츠코비치 미클로시가 원을 가위로 자를 수 없는 조각, 즉 점의 집합으로 ...
사망했다는 소식이 프랑스 전역에 퍼졌어. 알제리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하던 모리스 오댕이 프랑스 군대의 고문을 받다가 숨진 거야. 당시 알제리에서는 프랑스로부터 독립하기 위한 운동이 한창이었지. 프랑스 수학자 로랑 슈와르츠는 이런 현실을 두고 볼 수 없었어. 그는 모국인 프랑스가 ...
이 나무는 미국 북동부의 추운 날씨를 못 견뎌 뉴욕 식물원, 펜실베이니아대학교의 모리스 수목원, 하버드대학교의 아놀드 수목원 3곳에서만 특별히 관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경찰은 시신이 발견된 보스턴에 있는 아놀드 수목원 근처 거주지를 조사해 범인을 검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