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강, 주황, 노랑 등의 따뜻한 색과 초록, 파랑과 같은 차가운 색으로 나뉜다. 2017년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뇌인지과학부 연구팀은 본래 차가운 색보다 따뜻한 색 구분이더 명확하다는 연구를 발표했다. doi: 10.1073/pnas.1619666114연구팀은 언어에 세 가지 색상어가 전부인 치마네족 58명과 80가지 색을 ...
혹여나 글자를 보고 잘못된 정보를 얻었다가 생명이 위험해질 수도 있다. 2012년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에이지랩(AgeLab) 연구팀은 미국의 글꼴 디자인 회사 모노타입과 인지하는 데 시간이 가장 적게 드는 글꼴에 대해 연구했다. 알파벳 a나 c에서 열린 부분이 넓을수록, 알파벳 O와 숫자 0의 가로폭 ...
가능성으로 보여주는 실험동물 대상 연구결과가 있다. 2013년 도네가와 스스무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교수팀은 특정 기억 정보를 담고 있는 신경세포의 무리, 즉 엔그램 세포들을 인위적인 조건에서 활성화시키면 가짜 기억이 생겨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연구팀은 생쥐에게 전기충격과 상관없는 ...
화학 제품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모피도 연구실에서 구현됐다.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 연구팀은 2016년 보들보들한 모피의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3D 프린팅 기술을 선보였다. 연구팀은 50µm(마이크로미터·1µm는 100만분의 1m) 두께의 구조물 수천 개를 제작했다. ...
다른 로봇들의 움직임에 밀려 목적지까지 잘 찾아갈 수 있거든요. 연구에 참여한 미국 메사추세츠공대 다니엘라 러스 교수는 “입자 로봇은 혼자보단 모였을 때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다”며 “앞으로 입자 로봇의 크기를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줄일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개발하는 데 기여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킵손 명예교수와 배리 배리시 교수, 미국 메사추세츠공대 라이너바이스 교수가 2017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답니다. 라이고는 4km 길이의 터널 두 개가 직각으로 놓여 있는 구조예요. 중심에서 양쪽 터널의 끝을 향해 동시에 레이저 빛을 쏘면, 빛이 거울에 ...
복원 성공!동물의 세포를 얼렸다가 녹여서 제 기능을 복구한 연구 결과도 있어요. 미국 메사추세츠공대 대학원생이 이끄는 ‘21세기 의학 연구소(21CM)’에서는 최근 냉동 보존한 토끼의 뇌를 거의 완벽할 정도로 되살리는 데 성공했거든요. 연구팀은 토끼의 머리에서 혈액을 모두 빼낸 뒤, ...
5월 28일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김상배 교수팀은 장애물을 뛰어 넘어가는 치타 로봇 영상을 유튜브에공 개했어요. 치타 로봇이 장애물을 넘는 동영상이 공개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에요. 작년 9월에도 이 연구팀에서 비슷한 영상을 유튜브에 올린 적이 있거든요. 하지만 그땐 치타 로봇이 앞을 ...
사람들이 가득했다. 늘 신기하고 재미난 아이디어와 연구가 넘쳐났다. 더구나 근처의 메사추세츠공대(MIT) 등 영감을 주는 다른 학교도 있었다. 황 교수는 지적 자극을 주는 이 모든 분야를 다 섭렵할 수 없다는 사실에 오히려 괴로울 정도로 의욕적이었다. MIT에서 인공지능도 배우고, 그들이 자랑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