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하우> 장내 미생물 관련 논문은 어디에 실리나요?관련 분야 학술지로는 ‘마이크로바이옴’ ‘거트 마이크로브 (Gut Microbes)’ 등이 대표적입니다. 물론 여러분들이 잘 알고 있는 ‘셀’ ‘네이처’ ‘사이언스’ 등 학술지에도 많이 게재되고 있습니다. 장내 미생물 논문을 잘 읽으려면 ...
여긴 어디, 난 누구?!알았다! 이곳은 내 장속이야.그런데 이 수많은 미생물은 도대체 누구야?내 안에서 뭘 하고 있는 거야?!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기획] 내 안에 네가 살고 있어 장내미생물Part1. [기획] 우리나라 장내 미생물이 온다!Part2. [기획] 우리 몸이 해킹당했다?!
짓기 위해 농식품부는 2년간 미생물 자원 7679주, 유전자원정보 1290건을 수집했어요. 마이크로바이옴 전문은행에는 아주 크고 차가운 냉동고가 설치될 거예요. 미생물을 섞은 용액을 영하 40°C 냉동고에서 한번 얼렸다가, 영하 80°C의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하거든요 ...
밝혔습니다. 관련해 최근 3가지 후속 연구가 나왔습니다. 아르준 라만 워싱턴대 의대 장 마이크로바이옴 및 영양연구센터 박사후연구원팀은 수백 가지 장내 미생물 군집 중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 장내 미생물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했습니다. 방글라데시의 영유아 55명으로부터 매달 대변 ...
뜻입니다. 이 미생물의 97.4% 이상은 대부분 장에 존재합니다. 이들을 ‘장내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라고 부릅니다. 그간 과학자들은 장내미생물이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해왔습니다. 장내미생물 연구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뉘는데요. 장내미생물이 인간의 면역계 와 ...
of Epidemiology 26 (2016) 322e329)에서도 자유롭지 못하다.하지만 최근 기술의 진보도 눈부시다.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전문기업 ‘천랩’을 이끌고 있는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현재의 기술적인 한계가 결론을 뒤집을 정도의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분석 비용이 점점 내려가면서 분석할 ...
미생물도 인간처럼 DNA 안에 거의 모든 비밀이 숨겨져 있기 때문에, 미생물 생태계 즉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연구가 활발히 이뤄졌다.그동안 발표된 수천 편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인간의 장 속에는 수만 종의 미생물이 산다. 각각의 개인은 이중 수백 종 정도의 미생물을 가지고 살아간다. ...
인공 망막미국의 ‘세컨드 사이트 메디컬 프로덕트’사는 망막의 역할을 대신하는 '아르거스Ⅱ’를 개발했다. 선글라스에 달린 소형 카메라가 풍경을 촬영하면, 이 영상이 몸 외부에 휴대한 영상처리장치에서 적절한 전기신호로 변환돼 망막에 이식한 마이크로칩으로 무선 전송된다. 이 신호가 시 ...
있다. 한 예가 인간의 몸, 정확하게는 인간의 장내에 존재하고 있는 미생물체(이를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라 부른다)에 대한 관심이다.인간의 장내에 서식하는 수백만 마리의 미생물체들의 적정한 균형 유지는 인간의 신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질병 발생을 막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