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8년 3월 4일 아침, 미국 캔자스주 포트 라일리의 병원에 ‘알버트 기첼’이라는 병사가 찾아왔습니다. 목이 따갑고 열과 두통이 있다고 호소했지요. 곧 ... 전염병인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싸우고 있습니다. 새로운 전염병에 잘 대처하려면, 스페인 독감이 준 교훈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
개발돼 있던 치료제(타미플루)와 백신이 개발되며 감염자의 숫자는 줄었고, 지금은 계절독감 수준의 질환으로 자리잡았다. 신종플루의 경험은 코로나19 팬데믹의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로 생각된다.지금의 백신은 효력을 다했나 “부스터샷 접종까지 마쳤는데 코로나19 양성이 나왔어요.”‘코로나19 ...
비해 효과가 떨어지거나, 부작용이 컸기 때문이죠. RDRP를 목표로 했던 약물 ‘아비간’은 독감 치료 효과를 인정받았지만, 기형아를 유발하는 부작용이 있어 일본에서 심각한 상황에서만 조건부로 허가된 적이 있습니다. 정용석 교수는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가 공유하는 특징을 찾아 범용성이 큰 ...
일일이 신문에 나오지 않죠. 독감에 의한 희생자가 없어서가 아니라, 사회적으로 계절독감을 특정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발병하는 질병으로 인정했기 때문입니다.풍토병에 대한 판단은 유전체, 숙주의 종류 등 바이러스 고유의 특성뿐 아니라 인위적인 요소가 관여합니다. 대표적으로 우리가 방어 ...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현재 코로나19의 종식은 어렵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며, 독감처럼 코로나19가 ‘풍토병’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합니다. 풍토병은 특정 지역에서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질병으로, 계절 또는 지역에 따라 코로나19가 계속해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
9 바이러스의 전파력과 치명률을 다른 감염병 질병과 비교한 분포도를 보면 스페인 독감과 비슷하거나 약한 정도의 치명률과, 비슷하거나 높은 정도의 전파력을 보이는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새롭게 발생한 오미크론은 기존의 코로나19 바이러스보다는 전염력이 높고, 대신 치명률은 ...
제 이름이 불렸습니다. 진료실에 들어서자 의사는 “컨디션이 좋으냐”고 묻고는 “독감 백신이랑 비슷하니 걱정 말라”고 안심시켰습니다. 이어서 ‘아스트라제네카’라고 적힌 병에 주사기를 넣고 투명한 액체를 쭉 빨아들였습니다. 오른손잡이인 저는 왼쪽 팔뚝에 주사를 맞았습니다. ...
수를 최소화하는 것만으로도 감염전파율을 줄일 수 있어요. 코로나19가 기승인 가운데 ‘독감’의 계절까지 오고 있어요. ‘바이러스’로부터 스스로를 지켜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 ...
유럽 정복자들에 의해 신대륙에 유입돼 퍼졌다. 20세기 최악의 팬데믹이었던 스페인 독감은 1918년 3월 미국 시카고의 군기지에서 첫 환자가 나온 후에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미군을 따라 유럽으로, 그리고 전 세계로 순식간에 퍼져나갔다. 모빌리티 가속화로 팬데믹은 어느 때 일어나도 이상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