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강연장 바깥에는 포스터 세션이 있다.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곳이다. 대한화학회, 전기전자재료학회, 환경분석학회 등 많은 학회에서는 최근 종이 포스터 대신 e포스터를 도입하고 있 다. 4~5개의 모니터 화면으로 수십~수백 개의 연구 성과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됐다. 궁금한 연구를 ...
곰 인형을 만들겠답시고 머리, 다리, 몸통을 마구 연결한다면 결과물은 처참할 것이다. 올바른 위치에 각 부분을 연결해야 비로소 우리가 알고 있는 곰 인형 모양이 나타난다. 분자를 만드는 과정도 마찬가지다. 원하는 형태의 분자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그 재료인 원자를 잘 이어줄 도구가 필요하 ...
비판에 직면해 있다.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해 플라스틱에 대해 먼저 알아봐야 한다. 대한화학회에서 발간한 화학 백과는 플라스틱을 ‘열 또는 압력에 의해 성형할 수 있는 유기물 기반 고분자물질 및 그 혼합물’이라고 정의한다. 정의에 따르자면…. …여기까지 쓰고 나니 맥이 풀린다. ...
지난 3월 영국 런던 경찰청은 학생과 대학에게 논문 공유 사이트 ‘사이허브(Sci-Hub)’를 사용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런던 경찰청은 사이허브를 불법 사이트로 규정하며 “대학 직원과 학생들에게 피싱 e메일을 보내 로그인 계정을 얻는 등 악의적인 수단을 사용한다”고 알렸다.2015년에는 과학 학술 ...
적이 있나요? 이런 경험이 있다면 이번 기회를 통해 주기율표를 마음껏 재창조해보세요. 대한화학회와 한국화학연구원이 과학동아와 함께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대회’를 개최합니다.자신만의 기준을 사용해 원소를 분류하고 각 원소의 특징을 자유롭게 표현해보세요. 복잡하고 화려하지 ...
콜레라균에 감염된 동물에서 뽑아낸 혈청은 콜레라균에만 방어력을 갖는다. 혈청 속 항체가 항원 특이성을 갖기 때문이다. 이는 수많은 실험과 연구를 통해 검증된 사실이었지만, 1900년대 중반까지도 항체가 항원과 결합하는 기작은 비밀에 싸여 있었다. 당시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항원이 체내로 ...
◇읽으면 천재 수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반도체 입자인 퀀텀닷. 퀀텀닷은 1982년 러시아 과학자들이 처음 발견한 뒤 1993년 마크 캐스트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가 처음 합성했고, 삼성에서 친환경 퀀텀닷 소자를 활용한 첫 번째 상품인 퀀텀닷 TV를 2014년 출시했다. ...
현재 포스텍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무기화학 및 유기금속화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대한화학회와 한국화학연구원, 네이버TV가 주관하는 ‘주기율표와 원소, 150년의 이야기’ 동영상 시리즈 제작에도 참여했다. eslee@postech.ac.kr 용어정리* 배위결합공유결합 중 전자가 한쪽 원자에서만 제공되는 ...
광운대 화학과 교수, 하윤경 홍익대 기초과학과 교수(아래 사진 왼쪽부터 순서대로)등 대한화학회 소속 전문가 6명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고등부 대상은 안상하 양(구리 인창고 1학년)이 만든 ‘2019 빅데이터 원소 주기율표’에 돌아갔다. 원소의 쓰임새를 담은 그림과 원자에 관한 다양한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