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니소바인 역시 유라시아 동부로 이주한 현대인과 만나 후손을 남겼는데, 오늘날 뉴기니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 필리핀의 일부 수렵채집인들이 데니소바인의 유전자를 6% 정도 갖고 있다. 데니소바인은 오늘날 티베트 사람들에게 고지대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EPAS1 유전자 변이도 물려줬다 ...
고도로 계획적인 수꽃선숙의 메커니즘을 선보인다. 연화수는 원래 필리핀과 파푸아뉴기니가 원산지다. 꽃의 관상 가치가 높다 보니 사모아, 괌, 싱가포르, 하와이 등 다른 여러 지역으로 널리 퍼져나가 전 세계 열대와 아열대 지역의 정원에서 인기를 누리고 있다. 특히 미국 플로리다주의 정원에서 ...
… (하략) 맹그로브(Mangrove)맹그로브(mangrove)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파푸아 뉴기니 등 열대지역 해안가에서만 자라는 식물이에요. ‘망그로(mangrow)’라고 불렸다가 ‘숲’이란 뜻의 ‘그로브(grove)’와 합쳐진 단어예요.육지와 바다의 경계선에 사는 맹그로브는 평소 물속에 잠겨 있다가, 한 ...
머레이 콕스 뉴질랜드 매시대 기초과학부 교수팀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과 파푸아뉴기니에 사는 현생인류 유전체에서 데니소바인과 여러 차례 DNA를 교류한 흔적을 발견했다. 심지어 데니소바인이 단일 그룹이 아닌 여러 혈통으로 구성돼 있었고, 지역에 따라 다양한 데니소바인이 존재했을 ...
수렵채집인 계통이 조몬인에게도 부분적으로 기여했음을 시사한다.반면 이 계통과 호주·뉴기니 원주민 계통의 공통기원 여부, 특이한 하플로그룹을 높은 빈도로 갖는 티베트인과의 연결고리는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이들 집단에 대한 연구는 단일 계통의 이른 남방 확산보다는 동아시아로 ...
3m 정도의 길이까지 자라기도 해.우리가 원래 사는 곳은 호주의 동부와 북부 해안, 파푸아뉴기니 등지였어. 그런데 1940년대 말에서 1950년대 초 사이에 남태평양의 작은 섬인 괌으로 유입되었어. 우리가 잡아먹는 바람에 ‘마리아나과일비둘기’ 등 괌의 많은 토종 새들이 멸종 위기에 처했단다 ...
보충.2020년 4월 10일 리틀톤항을 출항해 약 5500km 항해 시작.2020년 4월 20일 파푸아뉴기니 라바울 도착. 코로나19 증상 검사 후 전원 탑승. 2020년 4월 29일 대한민국 광양항 도착. ● 인터뷰 “아라온호가 도움을 줄 수 있어 뿌듯했어요.”임채호(아라온호 항해사) Q남극은 어떤 ...
속 물고기는 2019년, 파푸아뉴기니에서 처음 발견된 먹테얼게비늘 종 시파미아 아르나제(Siphamia arnazae)예요.캘리포니아 과학아카데미 연구팀이 2019년에 새롭게 발견한 71개의 동식물 중 하나지요. 섀넌 베넷 박사는 “지구를 수십 년 동안 수색하고 있지만, 지구상의 자연종 90% 이상은 여전히 알려지지 ...
가볍게 어루만지면서 서서히 친해져야 한답니다. 앵무새는 시끄럽다?!코카투나 뉴기니와 같은 앵무새들은 시끄럽게 울어서 이웃에 피해를 끼칠 수 있어요. 아파트나 공동주택에서 키우기에 적합하지 않지요. 이처럼 종마다 특징이 다양하기 때문에 반려조의 특징을 꼼꼼히 알아본 후, 우리 집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