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수는 분자와 분모가 정수인 분수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수를 뜻합니다.유리수에는 자연수와 정수는 물론이고, 소수점 아래 몇 번째 자리에서 끝나는 유한소수도 포함되지만 논의에서 제외합시다. 위질문은 0.3434…와 같이 소수점 아래에서 끝나지 않는 무한소수인 유리수는 반드시 34와 같이 적 ...
어떤 수를 영 제곱한다는 것은 20, 30, 100과 같은 경우를 말합니다. 여기서 거듭제곱은 같은 수를 여러 번 곱했을 때, 일일이 곱한 수를 나열해 쓰지 않고 곱한 횟수를 오른쪽 위에 작은 숫자로 표현해 쓰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25은 2×2×2×2×2와 같이 2를 다섯 번 곱했음을 뜻합니다. 마찬가지로 ...
소수는 1이 아닌 자연수 중에서 1과 자기 자신 이외의 약수를 갖지 않는 수입니다. 2, 3, 5, 7, 11, 13 등과 같은 수가 소수입니다. 그런데 왜 1은 소수에서 제외하는 걸까요?1을 제외하는 이유는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수를 소수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을 소인수분해라고 하는데, 소인수 ...
도형의 넓이란 그 도형을 덮을 수 있는 어떤 양을 수로 나타낸 것이에요.넓이의 기본 단위는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단위 정사각형)의 넓이로 하지요. 도형의 넓이를 구한다는 것은 그 도형을 덮으려면 단위 정사각형이 몇 개 필요한지 계산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가로가 3이고 세로가 4인 ...
형식적인 언어로 전개되는 수학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하지만 길은 있다.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고 했던가.수학이 왜 어려운가에서 출발해 수학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은혜는 지금 수학 때문에 한 걱정이다.어떻게 수학만 이리도 못할 수 있을까.선생님이 풀때는 잘 알 것 같다가도 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