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이 크게 감소했고, 억제하자 공포 반응이 유지됐습니다. 이를 영화에 적용시키면 광유전학으로 전투 의지를 높이거나 고통을 못 느끼게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 의지나 고통에 관여하는 뇌 회로를 발견하기만 한다면 말이죠.AI 수준 평가하는 최첨단 튜링테스트 “윤서현 팀장님, ...
말했다. 최근에는 광유전학 기술로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광유전학은 빛에 민감한 광수용체 단백질로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기술이다. 허원도 KAIST 생명과학과 교수(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연구단 초빙연구위원)팀은 쥐의 광수용체 단백질 유전자를 변형시켜 ...
8월, 카이스트 정재웅 교수와 미국 워싱턴대학교 마이클 브루카스 교수 공동연구팀은 광유전학 기술과 약물을 이용해 쥐가 특정 장소를 좋아하도록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 연구팀은 먼저 쥐의 뇌에서 행복감을 느끼게 만들 수 있는 뇌 보상회로*에 채널로돕신 단백질을 넣었어요. 한편, ...
관계있단 사실을 가장 먼저 밝혀내기도 했지요. 한국뇌은행장 김종재 교수는 “광유전학 같은 뇌 공학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선 먼저 인간 뇌의 생리를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이어 김 교수는 “인공지능은 기계가 뇌처럼 생각하도록 만든 것”이라며, “뇌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
주입하는 데 성공했다. 토드 로버츠 미국 사우스웨스턴 텍사스대 신경과학과 교수팀은 광유전학 기술로 노래를 한 번도 배운 적 없는 어린 금화조에게 기억을 주입해 노래를 부르게 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참새목 중 하나인 금화조는 지저귀는 소리가 트럼펫 소리와 유사해서 ‘작은 트럼펫 ...
빛을 받으면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한다.김 교수팀은 TRP-1과 TRP-2가 작동하는 신경을 광유전학적 방법으로 활성화시킬 경우 예쁜꼬마선충이 움직이는 방향을 바꿀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앞으로 김 교수팀은 자기수용감각의 신호전달체계를 추가로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김 ...
활동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연구에는 빛을 이용해 신경세포의 활동을 조절하는 광유전학기법이 사용됐다.신 단장은 “앞으로 공포기억을 억제하는 회로를 조절하는 약물과 기술 연구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2월 1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doi: 10.1038 ...
많은 연구를 통해 빛으로 조절이 가능한 다른 이온채널들의 개발이 이뤄지고 있고, 광유전학 기법을 이용해 뇌 영역과 신경회로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병이나 특정 행동의 원인을 밝히고, 나아가 빛을 이용해 난치성 질병을 치료하는 미래를 위해 ...
확인했다.연구팀은 신맛 수용체가 물맛을 인식한다는 가설을 추가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했다. 쥐 앞에 빈 물통을 놓고, 물통을 건드릴 때 마다 신맛 수용체를 자극하는 푸른 빛을 쪼였다.그 결과 쥐가 빈 물통으로 다가가 실제로 물을 마시지 않았음에도 계속 물통을 핥는 것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