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세포를 현미경으로 본 모습이다. 노화성 황반변성이 발병한 이후 녹색으로 염색된 광수용체 세포 수가 줄고, 붉은색으로 염색된 뮐러세포 수가 늘었음을 알 수 있다 ...
더 이상 따라 긁는 행동을 하지 않았거든. 결국, 정확히는 뇌의 시교차상핵과 연결된 광수용체 ‘감광신경절세포●’ 부위가 긁는 행위를 보는 시각적인 인지 없이도, 따라 긁도록 만들었다고 판단했어. 어떻게 그런 능력을 갖게 된 거야?저우펑 첸 교수는 “따라 긁는 행동은 생존을 위해 필요한 ...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망막색소변성증 : 망막에서 빛을 받아들이는 부분인 광수용체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시력을 잃는 질환. 세계적으로 약 200만 명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구분하긴 어려워도 어둡기와 밝기는 더 잘 구분할 수 있지요.망막까지 도달한 빛은 광수용체 세포와 반응하여 전기화학적 신호를 발생시켜요. 이 신호가 주변의 신경세포에 흥분을 전달하면, 시신경을 따라 자극이 대뇌로 전달돼요. 그 덕에 우리는 이 사물이 어떤 색깔인지 알아낼 수 있답니다. # ...
전자및컴퓨터공학과 박사는 “인공 눈에 부착한 나노와이어의 밀도를 실제 사람의 광수용체 밀도의 10배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며 “인간의 눈보다 훨씬 나은 분해능을 가진 인공 눈을 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20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1586-020-2285 ...
KAIST 생명과학과 교수(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연구단 초빙연구위원)팀은 쥐의 광수용체 단백질 유전자를 변형시켜 빛에 대한 민감도를 55배 증가시켰다. 그 결과 살아있는 쥐 머리에 손전등 강도의 빛(1mW/mm)을 비추는 것만으로 신경 세포 내 칼슘 신호를 조절할 수 있게 했다. 빛을 비추면 ...
이동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비라즈 마하토 노스텍사스대 보건과학센터 연구원은 “광수용체가 전혀 없다시피 한 중증의 쥐도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4월 1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doi: 10.1038/s41586-020-2201- ...
광유전학 기법으로 자기수용감각 신경의 역할을 추가로 조사했다. 빛을 감지하는 광수용체인 로돕신을 신경세포에 발현시킨 뒤 빛을 비춰 신경세포의 활성을 조절한 것이다.로돕신에는 크게 ‘채널 로돕신’과 ‘헬로 로돕신’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채널 로돕신은 파란빛을 받으면 신경세포의 ...
개발했다. 연구팀은 4종류의 광수용체 단백질을 생산한 뒤 그래핀 소재에 결합했다. 인공 광수용체는 가시광선에 인간과 유사한 스펙트럼으로 반응했고 붉은색, 초록색, 파란색 빛의 명암을 인지했다. 연구결과는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5월 18일자에 실렸다.doi: 10.1002/adma.201706764 #2018년 7월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