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의 농도를 높일 때 나타나는 효과들이 생각처럼 단순하지만은 않거든요. 반건호 경희대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ADHD 치료제로 높아진 도파민 농도가 ADHD에만 관여해주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고 했습니다. 도파민은 수용체만 해도 D1부터 D5까지 5가지 종류가 밝혀져 있고, 현재 ...
이는 향후 국제 우주탐사 때 궤도선, 착륙선 등의 통신에 적용될 예정이다. 이외에 경희대 연구팀이 설계한 자기장측정기로는 태양과 지구, 달 사이 우주환경을 연구한다. 달의 자기장을 분석하고 자기장 이상 지역을 파악해 ‘달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달 표면 자기 이상 지역의 진화와 ...
탐색하고, 한국천문연구원의 광시야편광카메라는 달 표면 입자를 연구할 계획이다. 경희대에서 만든 자기장측정기로는 달의 생성 원인을 확인하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감마선분광기는 달 표면에서 자원을 탐사할 예정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우주인터넷탑재체는 심우주 통신을 ...
사고 이후로도 강하게 흔들리지 않던 원자력공학과는 탈원전 이후 변화를 겪었다. 경희대 원자력공학과는 전출자 수가 증가했다. 대학생들은 술자리에서 취업에 관한 고민으로 뭉쳤다.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도 전공 선택 학생 수가 급감했다. 같은 꿈을 꾸는 이들은 떠나고, ...
원전 생태계를 이끌 대안으로 꼽은 원전 해체산업도 명확한 대안은 아니었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해체는 산업이 되기 어렵기 때문”이라며 “우선 물량이 일정하지 않으며, 해체산업은 기존 원자력 관련 산업보다 수익도 많이 남지 않는다”고 했다. 여기에 기후위기로 탄소 ...
입자물리학의 또 다른 미스터리를 해결하면서 고안됐다. 그런데 1979년, 김진의 현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당시 펜실베이니아대 물리학과 연구원)가 만약 액시온이 우주 초기부터 존재했다면 액시온은 질량이 아주 작고 암흑물질에 적당할 것이라는 이론을 제기했다. 4년이 지난 1983년, 액시온이 ...
있다”며 “다음 변이가 오미크론과 유사할 것이라고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정용석 경희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변이가 잦은 스파이크 단백질이 아닌 다른 타깃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한편 항원-항체 반응뿐만 아니라 세포매개 면역 반응을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백신을 개발할 필요성도 ...
정확히 밝혀지기 전인 2020년 초,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는 일찍이 엔데믹을 예견했습니다. 전 세계가 방역 정책을 완화하며 엔데믹으로의 전환을 꾀하는 지금, 다시 그의 입장을 들어봤습니다. Q. 코로나19는 엔데믹을 맞이할 수 있을까요 ...
최초의 고에너지 입자 관측 장비지난해 11월에는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과 선종호 경희대 우주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개발 중인 달 관측 장비가 2024년 달로 떠난다는 사실이 공개됐다. 인튜이티브 머신스의 착륙선에 실려 달로 떠나는 이 기기의 이름은 ‘루셈(LUSEM·달우주환경모니터)’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