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내 완전한 게놈 지도를 완성했다. 이들이 밝힌 표준 유전체 ‘T2T-CHM13’은 기존 GRCh38 게놈에 2억 2000만 개가 넘는 염기쌍이 추가된 것이다. 또 연구팀은 200만 개의 유전적 변이도 찾아냈다. 기존에 GRCh38이 갖고 있던 수천 개의 구조적 오류도 수정했다. 이 논문에 참여한 이아랑 미국 NHGRI ...
의대 교수는 자신의 게놈을 NFT로 판매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처치 교수는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 공헌한 과학자입니다만, 매머드 부활 연구를 하고, DNA를 기반으로 한 데이트앱을 개발하는 등의 논란을 일으킨 인물이기도 합니다. 월드와이드웹(WWW)을 개발해 세계를 인터넷으로 연결한 영국 컴퓨터 ...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리고 “자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게놈 데이터가 국민의 건강을 위해 얼마나 이익이 되는지 충분히 이해하고 공격적으로 투자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먹는 동물들, 멀쩡한 이유?[독수리] 독성물질을 이겨내는 강한 위산!울산과학기술원 게놈연구소 공동연구팀은 독수리가 부패한 동물의 시체를 먹고도, 병원균에 감염되지 않는 이유는 유전적 변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2015년 밝혀냈다. 연구팀이 독수리 유전자 20만 개를 분석한 결과, 8천만 년 전 ...
이어지는 기사 바로가기☞ 역사가 된 실패 과학자들의 '망한 연구' 생명과학 연구원들의 외장 하드를 탈탈 털었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대학원 자치회가 주최하는 ‘망한 실험 사진전’이다. 올해로 2회째를 맞았다. 연구원들은 뜻하지 않은 곰팡이가 자라 꽃을 피우고, 예상치 못한 포식자에게 ...
특정 생물종을 대표하는 유전체 정보인 표준유전체는 ‘설계도’에 비유된다. 정확한 표준유전체만 있다면 해당 염기서열을 재조립해 멸종한 생물을 되살리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 유전체 해독 방식은 유전체 내 반복서열을 제대로 알아내지 못하는 등 한계가 있었다. 12개국 50여 ...
코로나19) 연구가 이뤄낸 성과는 이를 뒷받침하는 좋은 사례다. 신종 바이러스의 게놈 정보를 발빠르게 공유해 바이러스의 변이를 추적하고 치료제와 백신을 개발하는 데 공헌했다. 심사 전 논문 저장소 ‘바이오아카이브(bioRxiv)’와 ‘메드아카이브(medRxiv)’, 바이러스 정보공유 기구 ‘지사이드 ...
기법을 제안해 주목 받았습니다. DNA를 접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인핸서’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시작한 1990년대만 해도 과학자들은 사람의 DNA 염기서열을 알아내면 생명의 모든 비밀을 파헤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하지만 DNA 염기서열과는 상관없는 다양한 요인이 유전자 발현을 ...
10.1126/science.aax2537연구팀은 먼저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 데니소바인의 게놈을 분석해 차이를 보이는 61개의 유전자를 찾았다. 여기에는 뇌를 비롯한 신경발달에 관여하는 NOVA1 유전자가 포함돼 있었다.연구팀은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현생인류의 NOVA1 유전자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