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이 맞습니다. 권총에서 발사된 총알의 속도와 비슷한 속도죠. 말 그대로 ‘총알 같은 강속구’네요. 이렇게 빠른 속도로 발사되는 야구공의 위력은 어느 정도일까요? 이 공을 글러브로 받으면 어떻게 될까요? 자신있게 말씀을 드리자면, 무엇을 상상하든 이 야구공의 위력은 여러분이 상상하는 것 ...
즉 구사할 수 있는 구종은 많지 않아도 구속으로 확실하게 타자를 압도할 수 있는 강속구 투수가 승리를 이끄니 FA에 나오면 무조건 잡아야 한다. 그러나 이런 선수는 너무 적다. FA로 풀린다 해도 매우 비싸다. 구단 재정상 원하는 선수를 모두 영입할 수 없다면, 남들이 보지 않는 ‘숨은 데이터’를 ...
같은 구종으로 팀에 많은 승리를 가져왔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는 ‘대체적으로’ 강속구 투수들이 승리에 더 많이 기여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이해하는 것이 맞다.이처럼 데이터 분석에는 유의할 점이 많다. 특히 많은 양의 데이터를 다루는 빅데이터 분석은 추세를 분석하고 평균적인 움직임을 ...
수년째 최고의 투수로 군림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야구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왼손잡이 강속구 투수라면 지옥에서라도 데려오라’는 말이 회자된다. 그만큼 좌완투수는 그 자체만으로도 환영받는 존재다. 여기에는 나름의 ‘과학적인’ 이유가 있다. 야구의 비대칭성우선 야구가 가지는 독특한 ...
그래프)를 보면, 회전수가 높을수록 타자가 헛스윙을 할 확률도 높았다.마무리는 불 같은 강속구?데이는 회전수의 위력을 가장 잘 살리는 투수로 보스턴 레드삭스의 마무리 투수, 우에하라 코지를 예로 들었다. 마무리 투수는 보통 경기가 팽팽한 상황에서 등판하기 때문에 삼진을 잡을 수 있는 ...
같다 해 이런 별명이 붙었다. 그만큼 공이 빠르기로 유명했다. 요즘 같으면 시속 160km의 강속구라고 간단히 표현할 수 있겠지만, 당시에는 위의 표현처럼 낭만적으로 말할 수밖에 없었다. 지금은 숫자로 공 빠르기를 간단히 말할 수 있다. 투수가 던지는 모든 공의 구속을 알아내 그날 얼마나 좋은 ...
살 어린이가 공을 던지는 속도의 3분의 1밖에 안 돼요. 하지만 인간은 시속 150㎞에 달하는 강속구도 던질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지요. 미국으로 건너간 류현진 선수처럼요.미국 하버드대학교 닐 로치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인간이 물체를 정확하고 빠르게 던질 수 있는 비결이 사냥을 위해 진화한 ...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메이저리그에서 동양인 투수 최다승을 거둔 박찬호 선수가 강속구와 커브를 주무기로 했다면 류현진은 다양한 변화구를 절묘하게 제구하며 메이저리그 타자들을 요리하고 있다. ‘코리안 몬스터’라는 별명까지 얻은 류현진의 투구를 과학적으로 분석해보자 ...
움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초속 7㎞로 움직이는 야구공만한 우주 쓰레기는 투수가 강속구 2만 8000여 개를 한꺼번에 던지는 것과 같은 파괴력을 갖는다. 투수가 던진 야구공 한 개를 맞아도 크게 다치는 것을 생각해 보면 어머어마한 힘이 아닐 수 없다. 이 때문에 지난 6월 28일에는 우주 쓰레기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