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생선을 먹고 김치를 먹으면 왜 쓴맛이 나나요?A.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와 소금(간수를 빼지 않은 소금)에는 본래 약간의 쓴맛이 있습니다. 하지만 평소 김치에서 쓴맛이 나지 않았는데 유독 생선을 먹고 난 후, 쓴맛이 느껴진다면 생선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생선은 죽은 뒤 시간이 흐르면 ...
사용해 만들었죠. 그런데 1962년 식품위생법에 따라 바닷속 중금속이 들어있을 수 있는 간수를 사용할 수 없게 됐어요. 이후 판두부를 만들 때는 주로 황과 산소, 칼슘으로 이뤄진 ‘황산칼슘’을 응고제로 쓰지요. 그렇다면 황산칼슘은 어떻게 두부를 단단하게 응고시킬까요? 황산칼슘을 포함해 ...
곱게 갈수록 콩 세포에 있던 단백질이 많이 녹지요. 콩물에 천일염과 식초로 만든 간수를 넣고 끓여줘요. 그럼 글리시닌 단백질은 산성인 환경에서 천일염 속 마그네슘과 만나 몽글몽글한 덩어리인 ‘순두부’로 응고돼요. 이 순두부를 틀에 넣어 단단하게 만들면 맛 좋은 두부가 완성된답니다 ...
간수가 없으면 염화마그네슘(MgCl2)을 4배의 물로 희석해서 넣어줘도 됩니다. 저도 간수 대신 염화마그네슘을 염도 약 19.6%가 되도록 희석해 넣었습니다. 콩물에 짠물을 넣기만 했을 뿐인데, 어떻게 푸딩처럼 단단하면서도 부드러운 고체가 됐을까요? 대두에는 글리시닌, 콘글리시닌 등 다양한 ...
있는 물질을 찾는 중이다.‘무기 수입’도 ‘무기 개발’도 어렵다면 ‘방패’라도 잘 간수해야 한다.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게 대표적인 방법이다. 2015년 WHO가 발표한 항생제 내성 약제 사용량 통계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한국과 이탈리아가 1위로 31.5DDD(의약품 규정 1일 ...
과정’을 높이 평가했다는 의미다. 2년을 발효시켜 만드는 젓갈, 수 년을 묵혀 간수를 제거해 쓴 맛을 줄이는 소금, 1년을 정성들여 기른 뒤 햇볕에 말려 곱게 빻는 고춧가루 등 김치를 담그기 위해서는 수많은 사람의 노력이 필요하다. 온가족이 1년을 먹을 김치를 만들어야 하기에 가족과 이웃집까지 ...
빼지 않은 천일염은 쓴맛이 강하다”는 게 그 이유였다.갯벌이 키워낸 미네랄 덩어리간수가 쓴 이유는 채취한 천일염에서 물이 빠져나올 때 결정 속에 들어 있는 마그네슘 이온이 물에 녹아 함께 빠져나오기 때문이다. 천일염에는 마그네슘 외에도 칼륨, 칼슘 같은 미네랄 성분이 전체에서 4~6%나 ...
그가 오랜시간 부식시켰던 의무실 하수구의 파이프를 교도소를 정비하는 일을 맡은 간수가 발견해 새 파이프로 교체했기 때문이다.그 뒤 스코필드는 의무실로 통하는 유일한 길인 정신병동을 중간 통로로 이용하기로 했다. 하지만 지하 통로를 탐색하던중 교도관들을 피해 뜨거운 스팀 파이프와 벽 ...
“와~, 바다다!”푸른이는 바다에 도착했다는 아빠의 말에 차문을 열고 뛰어나갔다. 그런데 이게 웬걸. 푸른이의 앞에는 하얀 가루가 반짝이는 넓은 밭이 펼 ... *간수를 넣어요.4. 10~15분이 지나면 간수를 넣은 콩물은 순두부처럼 말랑말랑 뭉치게 돼요.*간수는 슈퍼마켓에서도 살 수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