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변의 총 개수인 12개다. 왜 그런지 구조를 살펴보자. 정사면체 방법을 응용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 폴리링크를 만들 수 있다. 각각의 정다면체 폴리링크를 만드는 데 필요한 막대의 개수는 아래와 같다. 폴리링크는 정다면체뿐만 아니라 직사각형이나 마름모 등으로 ...
있어서죠. 정육면체의 부피는 한 변의 길이를 세제곱해서 구하기 때문에, 부피가 2배인 정육면체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세제곱했을 때 2가 되는 수를 찾아야 합니다. 작도로는 이 수를 찾을 수가 없다는 것이 증명됐지만, 종이접기를 이용하면 찾을 수 있어요. 1936년 이탈리아의 수학자인 ...
구조’라고 합니다. 밀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한 면의 대각선 길이가 구 지름의 2배인 정육면체 형태로 일부를 잘라 구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두 단계를 거쳐 채우기 밀도를 구해볼까요? 수학동아 독자, 수학자의 결과를 뒤집다?!채우기 문제의 활약이 대단하죠? 그런데 이 문제를 활용해 재밌는 ...
특히 미국의 유희 수학자인 마틴 가드너가 소개해 유명해진 소마 큐브는 조각을 맞춰 정육면체 외에 다양한 모양을 만드는 ‘모양 맞추기 퍼즐’로도 활용할 수 있어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이러한 패킹 퍼즐은 논리, 추론, 통찰력, 손재주 등을 발휘해 여러 조각으로 구성된 특정한 물건으로 문제를 ...
이처럼 숫자 배열의 패턴이나 규칙이 없는 숫자의 나열을 난수(random number)라고 부른다. 정육면체 주사위 하나를 던져서 나온 수를 순서대로 기록한다고 할 때, 이 숫자 배열은 어떤 규칙도 없다. 다음에 어떤 숫자가 나올지도 모른다(물론 숫자 1~6 중 하나를 찍을 순 있겠지만). 이처럼 예측할 수 ...
해결해야 합니다. 도전과제는 정사각형에 그려진 그림이 조건에 맞게 나타나도록 정육면체를 만드는 겁니다. 폴드 어 큐브는 전개도 퍼즐의 난이도를 높여 푸는 재미를 더하면서도, 답이 유일하도록 설계해 완성도가 높은 퍼즐입니다. 오른쪽에 제 마음에 들었던 도전과제를 하나 소개할 테니 ...
20개가 모여 정이십면체 구조를 만든다. 정이십면체는 5종류의 정다면체(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 중 표면적 대비 부피가 가장 커 유전체를 많이 담을 수 있고 나선형 구조에 비해 단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바이러스의 껍질은 외피 단백질이 한 겹 더 싸고 있다. 외피 ...
따라서 무작위라고 할 수 없습니다. 확률 분포란 각 상황에 따른 확률을 나타낸 함수로, 정육면체 주사위의 각 눈이 나올 확률은 모두 이고, 확률 분포 역시 로 균일하죠. 카드를 두 번 섞으면 어떻게 될까요? 처음 섞어서 만든 카드 더미에 붙인 번호를 유지한 채 맨 아래 카드부터 차례로 다시 ...
이어붙일 수가 없지만 타일은 같은 모양을 계속 연결할 수 있어.다른 도형도 마찬가지야. 정육면체는 4개, 정팔면체는 3개, 정십이면체는 10개, 정이십면체는 6개의 전개도를 조합하면 무한히 연결할 수 있는 최소 타일이 생겨. 타일을 이어붙인 평면을 만들었다면 이제 방향을 바꾸지 않고 한 번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