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가 만든 재단의 연구비 지원과 막스플랑크연구소, 바이츠만연구소의 도움으로 2000년 리보솜 구조를 밝힐 수 있었다. 연구를 시작한 지 20년 만이었다. 그는 젊은 연구자들에게 자신처럼 기회를 줄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좋은 질문을 밀어주고, 협력 연구 끌어줘야”아론 치에하노베르 교수는 ...
무엇보다 사람과에 속하는 인간과 다른 유인원의 진화를 보기에 변이 속도가 적당하다(리보솜RNA 유전자는 변이 속도가 너무 느리다!).장내미생물이 물리적으로는 부모나 주변의 환경으로 부터 오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분변 시료는 자연 상태, 즉 동물원이 아닌 아프리카의 서식지에서 확보했다 ...
가지고 있고 염기서열이 각기 다르다. 학문적으로 엄밀한 기준은 아니지만 편의상 16S리보솜RNA의 97% 이상이 일치하면 같은 종, 94% 이상 일치하면 같은 속, 90% 이상 일치하면 같은 과, 85% 이상 일치하면 같은 목 등으로 분류한다. 헤네지 교수는 이런 분류 기준이 ‘충분히 세밀하지않다(coarse)’고 ...
진핵생물은 세포 안에 또다른 막을 만들어 DNA를 보관하며(핵), 단백질을 합성하고(리보솜) 분해하는(리소좀)특별한 소기관을 가지고 있다. 필요한 단백질을 저장하는 소기관(소포체)도 있고, 그 단백질을 운송하는 것(골지체)도 있다. 이 가운데 미토콘드리아는 에너지를 만드는 소기관으로 세포의 ...
조상은 1980년대에 처음 밝혀졌다. 유전자 계통도를 그릴 때 기준이 되는 단백질인 16s 리보솜의 서열을 확인한 결과, 미토콘드리아가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Alphaproteobacteria)의 후손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Proc Natl Acad Sci U S A. 1985 Jul; 82(13): 4443–4447). 이후 연구에서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 중에서도 ...
부품이 존재하는 것처럼 합성생물학에도 ‘프로모터 서열’, ‘핵심 유전자 서열’, ‘리보솜결합 서열’, ‘터미네이터 서열’ 등의 유전자 부품이 있다. 합성생물학자들은 유전자 부품의 서열 정보를 이용해 전자회로를 구성하듯 생체회로를 설계한다. DNA 읽기, 쓰기, 편집 기술이 필요해여기엔 ...
대식세포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찍은 것이다. 세포의 핵과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리보솜 등 다양한 세포소기관을 염색했더니 영락없는 돼지 얼굴이 나타났다.복돼지 한 마리가 순박한 웃음을 터트린다. 맛있는 음식을 배불리 먹고 난 뒤인 걸까, 아니면 친구들하고 놀고 있는 걸까. 사실은 ...
만큼 작지만, 어마어마하게 많은 수의 원자로 이뤄져 있다. 예를 들어 단백질 공장인 리보솜을 만들려면 원자 수십만 개 가 필요하다. 이렇게 많은 수의 원자로 이뤄진 계에 양자역학을 직접 적용하는 것은 현재의 계산능력으로는 불가능하다. 원자 하나를 행렬역학으로 기술하는 데 10개의 숫자를 ...
구조라는 것을 알아낼 수 있었지. 이제는 단백질 수십 개가 결합한 아주 복잡한 단백질인 리보솜의 구조도 X선 결정학으로 밝혀낼 정도란다.이처럼 물리학의 영역이었던 X선 결정학이 단백질이나 DNA의 구조를 밝혀 주면서 생명과학이 발전할 수 있는 문을 활짝 열어 준 거야. 지금까지 X선 결정학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