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한달의 차가 있으며 가장 남쪽의 제주도에서는 따뜻해서 김장이 별로 필요가 없다. 김치 담그기에 있어서나 기타 음식에 있어 무엇보다도 기후와 관련되는 것은 소금의 간과 맵기이다. 기온이 높은 남쪽일수록 쉽게 산화되므로 짜게 하고 맵게 하여 자극성있게 한다. 또 옛부터 전해오는 ...
만들었던 것 같다. 일본에 전해진 김치의 하나를 백제사람이 만들었다는 뜻에서 수수보리김치라 하였다. 이것이 일본의 대표적인 김치'다꾸앙'에 연결된 것이다.삼국통일 이후는 한반도를 무대로 하는 독자적인 문화가 숙성되고 스스로의 식생활을 되돌아보게 되었다. 중국에는 없고 우리나라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