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빵에 딱 어울리는 단어야. 비결이 뭐냐고? 바로, ‘효모’에 있단다. 효모(酵母, yeast) 빵을 만들 때 ‘효모’라고 불리는 가루를 넣는 것을 본 적 있나요? 놀랍게도 이 가루는 살아있는 생명체랍니다. 효모는 3~4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백만 분의 1m) 크기의 세포 하나로 이루어진 단세포 ...
거품이 생겨 부글부글 끓는 소리가 나고, 빵 반죽이 부풀어 오르지요. 효모의 영단어 ‘yeast’는 ‘끓는다’는 뜻의 고대 영어 ‘gyst’에서 유래되었답니다. 암은 몸안에 비정상적으로 자라나 질병을 일으키는 세포 덩어리를 말해요. 여러 가지 이유로 유전자에 변화가 일어나면서 세포가 ...
de novo sequencing, combined with RNASeq analysis, reveals unique genome and physiological features of the amylolytic yeast Saccharomycopsis fibuligera and its interspecies hybrid.doi:10.1186/s13068-016-0653- ...
클래스 유전자들이 단백질을 만들 때 동형복합체와 이형복합체 모두를 만든다는 것을 ‘Yeast-2-hybridization’이라는 방법을 이용해 밝혀냈다. 이로서 꽃식물의 진화 초기에 특정 유전자(예를 들어 꽃잎과 수술을 만들어내는 기능)가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을 했을 가능성이 제시됐다. 꽃식물의 진화 ...
단백질 차원에서 좀더 명확하게 드러난다. 맥주효모의 경우 효모 단백질 상호결합(yeast two-hybrid system)이라는 방법을 통해 각각의 단백질들이 어떤 단백질과 결합을 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쉽게 대량으로 얻을 수 있다. 이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모의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의 지도를 얻을 수 ...
각각을 별도로 발현시킬 수 있다.송 박사는 이 점에 착안해 ‘효모 2-하이브리드’(yeast 2-hybrid)라는 획기적 기술을 개발했다. DBD와 AD를 따로 발현시켜 여기에 각각 X, Y(임의의 단백질)라는 또다른 단백질을 붙이면 이 X, Y가 결합하느냐에 따라 효모에서 단백질의 발현 여부가 결정된다는 생각이다 ...
비해 짧게 생을 마치는 생물도 있다.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 중에 효모(yeast)라는 단세포생물이 있다. 술을 만드는 발효 과정에 관여하는 미생물이다. 효모 가운데 몸의 일부를 떼어내 번식하는(출아법) 종류를 실험실에서 키워보면, 어미 효모는 출아를 8회에 걸쳐 행하고 난 뒤 죽어버린다. ...
왔다.인공염색체는 1980년대 초에 처음으로 만들어졌다. 미생물인 효모의 인공염색체(yeast artificial chromosome, YAC)였다. 하지만 사람의 인공염색체가 만들어진 것은 바로 얼마 전에야 이루어졌다. 지난 4월 초 미국의 윌라드박사가 ‘네이처 제너틱스’란 학술지에 사람의 인공염색체를 만드는데 ...
Genome Project)가 착수된 이래 인간 유전체(genome, 게놈)의 지도작성은 이미 완료됐고, 효모(yeast)와 8종 미생물의 유전체 정보가 모두 규명됐다(표). 이제 우리 손 위에 독립된 생명체의 청사진을 올려놓고 들여다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놀라움과 호기심을 가지면서 조심스러운 마음이 앞선다. 그런데 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