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친구들. 나는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강에 사는 새끼 오리야. 우리에 대한 연구가 2022년 이그노벨상을 수상하게 돼 시상식에 초청받았지. 이그노벨상은 미국 하버드대학교 과학잡지 ‘있을 것 같지 않은 연구회보’가 노벨상을 패러디해 1991년 만들었어. 매년 ‘웃기고 나서 생각하게 만드 ...
어항을 놓았어요. 어항 옆에 수직 막대를 설치하고 카메라와 컴퓨터, 센서를 달아 ‘FOV(Fish-Operated Vehicle)’라는 금붕어 전용차를 완성했습니다. 카메라와 센서는 어항 속 금붕어의 위치와 운동을 감지하여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냅니다. 컴퓨터는 금붕어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차의 이동 여부와 ...
고유종으로 오래전부터 ‘물 괴물(water monster)’, ‘멕시코의 걷는 물고기(Mexican walking fish)’로 불리며 멕시코의 전설에 자주 등장했지요. 지금은 웃는 모습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전 세계 곳곳에서 반려동물로 키우고 있고, 재생 능력이 뛰어나 실험실에서 연구용으로도 쓰인답니다. 이처럼 흔하게 ...
형광물질을 이용해 RNA를 감지하고 시각화 하는 방법입니다. 일명 ‘형광 제자리 부합법(FISH·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입니다. 형광 제자리 부합법의 기본 원리는 DNA와 RNA의 경우 상호 보완적인 짝이 있으면 쌍을 이룬다는 것입니다. 마치 지퍼가 맞물리는 것처럼요. DNA가 이중나선인 이유도 바로 ...
훨씬 낮은 덕분이다. 적혈구가 없는 이런 어류들은 반투명하게 보인다고 해서 ‘빙어(ice fish)’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모든 남극 어류는 동결방지단백질이 혈액을 따라 순환하도록 진화했다. 결빙의 해수에 노출됐을 때 체액의 빙점을 해수보다 낮게 보호하기 위한 생존 장치다. 어류뿐만 ...
아프리카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코끼리주둥이고기’예요. 영어 이름은 ‘elephant-nose fish’지요. 코끼리 코처럼 길쭉한 주둥이를 가지고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답니다. 긴 주둥이를 이용해 진흙 바닥을 뒤져 먹이를 찾곤 하지요. 독특한 생김새 때문에 사람들이 관상용으로 많이 기르기도 해요.저는 ...
G.baen, G.donut, G.fish예요. 발음하면 ‘젤리빈’, ‘젤리도넛’, ‘젤리피쉬’! 해파리(Jellyfish, 젤리피쉬)와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캐릭터와 물체의 이름을 따 볼까?존경하는 학자가 아닌 좋아하는 스타나 캐릭터의 이름을 학계에 남긴 과학자들도 있어요. 고생대에 살았던 절지동물인 ...
같은 수륙양용물고기(Amphibious fish)가 육지에서도 먹이를 먹을 수 있는 비결이 밝혀졌다. 보통 물고기는 혀가 없어 물 밖에서는 먹이를 먹을 수 없다고 알려져 있다.벨기에 앤트워프대 크리진 마이클 교수팀은 말뚝망둥어(Periophthalmus barbarus)가 먹이를 삼키는 모습을 고속 X선 촬영한 결과, 망둥어가 ...
뜨거운 햇살을 잠시 잊게 해주는 시원한 바람이 먼 바다에서부터 불어왔다.‘피시아이(fish eye)’도 독특한 곳이었다. 바다로 향한 긴 다리를 건너가 나선형으로 이어진 계단을 뱅글뱅글 돌며 내려가니 마치 잠수함에 들어와 있는 것처럼 창밖으로 물고기가 보였다. 미크로네시아에 가면 이런 물속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