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값을 넣으면 출력값이 나온다! 어디서 많이 본 것 같지 않아? 그래, 맞아 함수야. 함수는 x라는 미지수에 값을 넣으면 y라는 결괏값이 정해지잖아. 어떤 식이냐에 따라 나오는 값도 달라지지. 그래서 딥러닝 자체를 함수라고 볼 수 있지. 앞서 설명한 퍼셉트론의 기본 구조 역시 함수야. 1. 함수의 ...
치열한 대학 입시 경쟁 때문에 문제 풀이로서의 수학만 접한 학생들이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수학 문제를 잘 풀지 못하거나 시험 점수가 낮게 나오면 수학에 흥미를 잃기 쉽죠. 무엇이든 잘해야 자신감이 생기고 좋아하기 마련이니까요. 그런데, 여러분! 수학은 원래 세상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
의사결정 이론은 사람이 상황에 따라 내리는 결정과 그 결정을 내리기 위한 전략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하지만 사람은 결정할 때 관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원이 많을수록 변수가 많아져 연구하기 어렵습니다. 그런데 쑤예준 중국 허하이대학교 경영학과 교수가 이끈 공동연구팀이 다수가 ...
김연진 기자 | 국내 유일의 수학 잡지 ‘수학동아’에서 그토록 알려주고 싶었던 수학 개념과 수학자는 누구일까요? 또 한 해 동안 가장 큰 인기를 누렸던 기사는 무엇일까요? 1월호부터 11월호까지 ‘수학동아’를 탈탈 털었습니다. 수학동아 독자가 가장 재미있게 읽은 기사는 무엇일까요? 1월 ...
양자컴퓨터를 현실화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양자컴퓨터는 0과 1중 어느 하나로 확정되지 않는 정보를 가진 ‘큐비트’로 정보를 처리하는데, 지금까지 개발된 양자컴퓨터의 성능은 수십 큐비트 수준에 머물러 있다. 게다가 정보를 처리하거나 통신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정보 손실을 정량화하 ...
데이터를 요리하는 기본적인 레시피를 알려드렸으니 이제 요리하는 걸 한번 보여드릴게유. 오늘 요리할 데이터는 청소년이 좋아하는 온라인 게임의 데이터예유. 많은 사람이 즐기는 온라인 게임은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쏟아져나오기 때문에 데이터 과학자에게는 다양한 분석을 할 수 있는 일종 ...
접어서 닦기 VS 뭉쳐서 닦기 황당 휴지 문제, 수학에게 물어봐~ 뭉친 휴지와 접은 휴지 중 어느 쪽이 더 효율적이면서 총 휴지를 적게 쓸까요? 황당한 듯 보이는 이 질문은 2019년 미국의 소셜 뉴스 웹사이트 ‘레딧’에 올라왔어요. 유저들은 “당연히 접어야지, 뭉친 휴지로 닦는다는 개 ...
뉴미디어아트 예술가에게 미술 도구는 곧 ‘알고리듬’입니다. 화가가 멋진 그림을 그리기 위해 새로운 재료와 화풍을 연구한다면, 뉴미디어아트 예술가는 기계학습 같은 새로운 알고리듬 기법을 익히죠. 도대체 어떤 작품을 만들길래 프로그래머도 아닌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배우는 걸까요? ...
피터 테이트 & 조지 데이비드 버코프의미 없는 ‘개념’은 없다 처음 소개할 신스틸러는 4색정리에 도전했다가 의외의 곳에서 쓰이는 수학 이론을 만든 수학자입니다. 주인공은 바로 스코틀랜드 수학자 피터 테이트와 미국 수학자 조지 데이비드 버코프입니다.1880년 테이트는 4색정리를 증명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