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과 1의 두 가지 숫자를 사용하는 2진법으로 기록된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저장매체인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와 반도체 방식의 저장매체인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는 2개의 2진법 데이터를 하나의 단위(비트)로 사용해 정보를 기록한다.2진법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이유는 데이터의 보관과 ...
저장하는 데이터는 1년에 1PB(페타바이트) 이상인데, 1PB는 요즘 컴퓨터에 사용되는 하드디스크의 용량인 1TB(테라바이트)의 약 1000배예요. 용량이 10GB(기가바이트)인 초고화질 영화 십만 편에 해당하는 어마어마한 크기죠.방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려면 컴퓨터도 많이 필요해요. RHIC의 컴퓨팅 ...
크기도 작다. 이 회사는 2000년대 초 하버드대 연구팀의 기술 특허를 사들여 2014년 외장 하드 크기의 미니온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미니온을 컴퓨터에 연결하면 연구실 밖 현장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최근 캐런 미가 UC산타크루즈 유전학연구소 교수팀은 미니온을 이용해 인간이 가진 ...
있을까요? 냉장고 자석부터 장난감, 길을 찾을 때 쓰는 나침반, 컴퓨터에 들어가는 하드디스크, 자기부상열차까지 쉽게 자석을 찾아볼 수 있어요. 이처럼 자석이 일상 생활에서 쓰이기 시작한 건 무려 2000여 년 전, 인류가 강한 자성을 띠는 돌인 ‘자철석’을 발견하면서부터예요. 이후 자철석에 ...
싶었던 적이 있을 거예요. 이와 같은 파일 복구는 어떤 원리로 이뤄질까요? 이는 하드 디스크가 정보를 저장하는 법을 이해하면 알 수 있어요. 플래터는 아주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라 새로운 파일을 저장할 땐 저장 위치를 담은 정보를 따로 만들어요. 도서관이 수많은 책의 위치를 ...
보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DNA 데이터 저장 기술에 즉시 응용할 수도 있다. 마치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정보를 저장하듯 DNA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김하성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합성생물학전문연구단 선임연구원은 “데이터를 저장할 때 8개의 염기로 암호화하면 염기가 4개일 때보다 저장 ...
공상과학(SF) 영화에 너무 자주 등장해서일까. ‘투명망토’ ‘투명우주선’의 핵심 소재인 메타물질은 과학에 관심 좀 있다는 사람에겐 꽤 익숙한 물질이다. 인터넷을 찾아보면 ‘음의 굴절률을 가진 물질이 빛을 휘돌아나가게 한다’는 그럴듯한 설명도 있다. 하지만 메타물질은 여러분이 생각하 ...
간단한 물건을 만드는 키트를 품에 끼고 다녔다. 과학상자가 지루해지자 일명 ‘하드’, 즉 막대형 아이스크림의 막대 등 생활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기 시작했다. 나중에는 나무나 쇠를 깎고 모터 등을 달아 배와 비행기를 만들었다. 그는 “하나씩 완성할 때마다 로봇을 만든 것처럼 ...
‘D라이브러리’에서 올해 수능 과학탐구에 출제된 문제의 키워드를 검색해보길 권한다. 하드디스크, 루이스 전자점식, 글루카곤과 글리코겐 등이 모두 설명돼 있다. 이번 호 기사로도 소개한다. ‘불수능 끝판왕’ 국어 31번 문제 해설도 포함시켰다. 수험생과 예비 수험생, 그리고 그들과 한마음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