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별하다지난 시간에 우리는 ‘이기적 유전자’라는 은유가 무얼 뜻하는지 짚었다 ... 도킨스의 은유를 따르자면, ‘이기적인’ 유전자도 맞지만 ‘이기적인’ 개체도 맞을 듯하다. 그런데, 절대로 그렇지 않다. 이것이 도킨스의 독창적인 통찰이다. 유전자는 개체, 집단, 종, 생태계 등의 다른 ...
리처드 도킨스는 일생의 역작인 ‘이기적 유전자’를 발표했다. 비판자들은 이 제목이 ... 바로 리처드 도킨스의 명저 ‘이기적 유전자’였다. 당시는 열등한 유전자를 박멸한다는 나치 우생학의 공포가 과학자들을 무겁게 짓누르던 시절이었다.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유전자’라는 불경스러운 ...
하나로 받아들여지리라고 믿는다.” 리처드 도킨스는 1976년에 쓴 ‘이기적 유전자’에서 이렇게 말했다. ESS는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Evolutionarily Stable Strategy)’을 뜻한다. 도대체 ESS가 뭐길래 도킨스가 이토록 입에 침이 마르게 칭찬했는지 사뭇 궁금하다. ‘전략’이라는 단어에서 짐작할 수 ...
일부는 내 이득이 된다. 만약 상대방이 행위자의 유전자를 개체군 평균보다 더 낮은 빈도로 가지고 ... r > 0) 혈연이라면, 악의적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에게는 결국 다음 세대에 복제본을 더 많이 ... 해친 행위자가 결국엔 장기적인 이득을 챙기는 이기적 행동이었다. 예를 들어, 땅다람쥐 암컷은 ...
너그럽다. 한편 ‘악한’ 사람도 있다. 나쁘고, 이기적이고, 탐욕스럽다. 이제 문제가 나간다. 선인 한 ... 문제는, 착한 사람들만 있는 집단 내부에 이기적인 얌체가 독버섯처럼 생겨났다면 전부 다 망하기 ... 만일 어떤 이유로든지 자식들이 부모의 유전자를 정확히 물려받지 못한다면, 예컨대 ...
자연 선택의 단위는 유전자임을 못박은 것이다. 유전자 선택론은 나중에 도킨스가 ‘이기적인 유전자 이론’으로 체계화했다. 실제로 도킨스는 “ ‘이기적인 유전자’의 핵심은 조지 윌리엄스의 ‘적응과 자연 선택’에 나오는 두세 단락에 다 들어 있다”며 윌리엄스에 대한 존경심을 표한 바 ...
리처드 도킨스는 ‘이기적 유전자’에서 가상의 새를 들어 상호성의 원리를 설명했다. 이 새들은 아주 위험한 전염병을 옮기는 진드기에 시달린다. 그래서 허구한 날 부리로 온 몸의 털을 정성껏 다듬는 게 일이다. 물론 부리가 못 닿는 머리 부위는 빼고 말이다. 머리까지 깔끔하게 다듬는 방법이 ...
“아, 리처드 도킨스였지”라고 깨닫게 된다. 그도 그럴 것이 “1976년 ‘이기적 유전자’를 시작으로 출간된 내 책들이 스티븐 호킹, 피터 앳킨스, 칼 세이건, 에드워드 O. 윌슨, 스티브 존스, 스티븐 제이 굴드, 스티븐 핑커, 리처드 포티, 로런스 크라우스, 대니얼 카너먼, 헬레나 크로닌, 대니얼 데닛, ...
수 있다. 이야말로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일 아닌가.정말 당연한 이야기다. 유전자를 공유하는 혈연에 대한 도움은 해밀턴이 이미 깔끔하게 설명했다. ... 배신보다 각자에게 더 나으니까! 개인들이 숭고한 대의가 아니라 순전히 이기적인 동기에서 자기 잇속을 챙기고자 협력한다는 설명은 옛날부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