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달하는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고 있어요.지난 2018년, 기초과학연구원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 연구팀은 자기장, 빛, 전기에 모두 반응하는 나노입자 계면 활성제를 만들어 발표했어요. 외부 자극으로 액체방울을 조종하는 연구는 기존에도 있었지만, 다양한 자극에 모두 반응하는 나노입자 계면 ...
7월 20일,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에 30명의 탐험대학 참가자들이 모였어요. ㈜에이로봇 엄윤설 대표님이 멘토로 진행하는 ‘하루종일 로봇 탐험’에 참가하기 위해서였지요. 이날 참가자들은 엄윤설 멘토님의 도움을 받아 직접 로봇을 기획해보기로 했답니다. 과연 탐험대학 친구들은 어떤 로봇 ...
6월 17일, 영국 포츠머스대학교 줄리아나 카민스키 연구원팀은 개가 선한 눈을 갖는 이유를 밝혔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개 6마리와 늑대 4마리를 해부해 얼굴 근육을 비교 분석한 결과, 늑대와 달리 개는 눈윗근육과 눈옆근육이 발달하도록 진화해 동글동글한 눈 모양을 만들 수 있는 것을 ...
활성화돼 밤에도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는 뜻이다.논문의 제1저자인 브라이언 졸토스키 서던메소디스트대 화학과 교수는 “(CRY4 단백질에) 변이가 생긴 철새들은 적은 양의 빛으로도 충분히 방향을 찾을 수 있다”며 “이동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doi: 10.1073/pnas ...
이 발달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늑대개’라는 별명을 가진 시베리안허스키를 제외하고 모든 개에게서 눈꺼풀을 귀 쪽으로 당겨서 눈을 크게 보이게 만드는 눈옆근육(RAOL·눈옆꼬리수축근)이 발달해 있었다. 귀여운 눈빛은 고양이도 못지않다. 단 어두운 곳에서만 통한다. 어두운 장소에서는 ...
성공했지만 이때에도 착륙선인 스키아파렐리는 낙하 도중 감지장치 오류로 추락했다. 스키아파렐리를 제외한 TGO는 현재 엑소마스 2016으로 불린다. 러시아는 유럽과 함께 2020년 7월 궤도선과 탐사 로봇을 화성 적도 인근 옥시아 평원에 보내는 ‘엑소마스 2020’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 혼자서 할 수 ...
아이디어를 주고받았다. 최근에는 수학 교사 출신의 지오지브라 팀 소속인 팀 브르제진스키가 지오지브라에 이용할 수 있는 3D안경을 만들었는데, 이에 대한 아이디어도 최 교사로부터 나왔다. 왠지 어려운 기하학적 도형이나 복잡한 계산에만 필요할 것 같지만, 오히려 최 교사는 지오지브라를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대학교 수학과에 재학 중인 딜런 프리드먼과 줄리 가불스키, 물리학과에 재학 중인 마씨 트론 플로렌틴 그리고 부에노스아이레스기술대학교 전자공학과에 재학 중인 브루노 글레서와 영국 수학자 제임스 그라임입니다. 네 학생은 점화식과 초항을 발견한 뒤 수학 ...